제주의 감귤산업의 생존전략에 대해 원론적 수준의 각종 논의들이 무성하지만 구체적이고 실현성 있는 대안은 아직도 요원한 실정이다.

감귤의 출하·유통과 관련한 논의에서 선과장의 대형화를 통한 유통의 체계화, 물류비용의 절감, 소비자 중심의 소포장 출하 등은 언제나 선결과제로 제시되고 있는 대안들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과제들이 원론적 수준에 그치고 구체적으로 현실화하기에는 구조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제주감귤은 직영을 포함한 조합계통 선과장 572개를 비롯해 921개에 이르는 선과장을 통해 출하된다. 이런 상황에서 출하조절은 아무리 외쳐봐야 공염불이다.

대형선과장은 최소한 500평 정도의 규모에 1일 100톤의 처리능력을 갖춰야 하는데 제주시농협 직영 선과장을 제외하면 이만한 규모를 갖춘 곳이 없다.

제주도는 지난 94년 농어촌 구조개선 차원에서 도내 500여개 작목반에 150∼200평 규모의 중소 규모의 선과장을 짓도록 행정지원에 나섰다. 그런데 4년이 지난 98년부터 뒤늦게 선과장 대형화사업을 본격 추진했다.

이미 중·소형 선과장이 행정지원에 힘입어 들어선 이후에야 대형화를 추진한들 제대로 먹혀들리 없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이치이다.

일부 전문가는 “이미 보급된 선과기가 낡아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될 때에야 대형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다소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기도 하다.

15kg위주의 포장체계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3kg·5kg 등의 소포장 체계전환도 물류비용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구두선에 그칠 수밖에 없다.

몇년전부터 소포장 출하가 계속 권장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감귤 95%이상이 15kg상자로 출하되고 있다.

지난 99년 서귀포시 관내 모 영농조합법인에서 10kg 감귤상자로 출하했다 물류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1년새 다시 15kg상자로 전환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재 도매시장에서 감귤을 상·하차할 때 일일이 손으로 작업해야 하는 체계부터 개선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다만 농협차원에서 지난해말 현재 전국에 7곳의 물류센터를 두고 기계로 상·하자 작업을 대신해 유통비 절감에 나서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그나마 서서히 정착되고 있는 것은 감귤의 브랜드화이다.

서귀포시 관내 하효·중앙·신효3통·법환·대포 3작목반에서는 칠십리 상표나 자체 상표를 가지고 3,75kg 관당 3500∼4600원까지 가격을 받아내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감귤의 출하·유통문제는 구조적인 문제부터 해결하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접근해야하는 사안이며 행정과 생산자단체·농가 모두 머리를 맞대야 하는 어려운 과제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