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정치 참여가 점점 활성화됨에 따라 지난 6·4지방선거에서 제주에서는 처음 지역구 여성 도의원 2명이 탄생하기도 했다. 이미 4년동안 활동해온 현역 비례대표 도의원이라는 프리미엄도 없진 않았지만 현역 남성 도의원 등의 벽을 깨고 도의회에 입성, 제주도의회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반면에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두 번째로 시행된 여성의무공천제는 색깔이 바랬다. 

지역구 지방의회의원 선거 시 국회의원 지역구마다 1명 이상을 여성으로 추천토록 의무화한 공직선거법에 따라 새정치민주연합이 2개 도의원 지역구에 공천한 여성후보 2명이 후보등록 뒤 곧 후보를 사퇴했기 때문이다. 당초 해당 지역구에 후보가 나서지 않은데다 이들 여성후보는 공천을 받은 지역구와 연고도 전혀 없어 새정치민주연합이 여성후보 미공천에 따른 제재를 피하기 위해 여성후보들과 짜고 꼼수를 쓴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이처럼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해 도입된 여성의무공천제가 오히려 여성후보를 정치적 희생양으로 만들고 있다는 주장이 또다시 제기됐다.

제주발전연구원 문순덕 책임연구원은 지난 23일 제주도선거관리위원회 주최로 열린 '여성 정치 참여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에서 "지난 제6회 지방선거에서 의무적으로 공천을 받은 여성후보가 희생양으로 비쳐졌다"며 앞으로 당선 가능성이 있는 지역구 공천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여성정치 지망생 등이 스스로 역량을 키우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은 물론이고 제도적으로 정치 참여를 돕는 방안이 더욱 강구돼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권고사항으로 규정된 지방의원 선거 시 여성후보 30%이상 공천을 의무화하는가 하면 유권자들도 여성후보는 정치력이나 경쟁력이 없다는 등 부정적 고정관념을 버려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