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유정 서귀포경찰서 정보보안과 외사계

다문화라는 말이 익숙해졌다. 수천년간 단일문화를 유지해왔고 또 이에 대한 자긍심이 매우 강했던 우리나라도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들의 지속적인 국내 유입으로 다문화 사회로 바뀌어 가고 있다.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의 자료에 의하면 이주외국인은 지난 8월 말 현재 170만명을 넘어섰고, 전체 인구의 3.4%를 차지한다. 외국인의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5% 이상일 때 완전한 다문화 사회로 본다면 아직 다문화 사회는 아니지만 2004년 75만명이던 이주외국인이 10년 사이 2.3배 이상 증가한 추세 등을 감안하면 완전한 다문화 사회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빨리 다가오고 있다.

다문화 정책을 추진했던 선진국들은 실패를 인정, 정책을 폐지하고 있다.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2010년에 "독일의 다문화 정책은 완전히 실패했다"고 선언했다. 20세기 중반부터 다문화 정책을 펼쳤던 영국도 2005년 이슬람계 이민 2세가 런던에서 폭탄테러를 저지르고, 이슬람계 이민자 사회가 종교율법을 영국사회에 강요하면서 다문화 정책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한국사회는 다양한 인종, 종교, 문화와의 공존의식이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다문화 공존' 찬성 비율이 36%로 유럽 74%에 비해 낮다. 또한 외국인 범죄자가 증가하면서 외국인에 대한 왜곡된 시각도 부정적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경찰도 이주여성 대상 운전면허교실, 다문화치안봉사단 활동, 다문화가정자녀 대상 경찰체험·멘토링, 외국인근로자 대상 범죄예방교실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사회의 정착은 경찰을 비롯한 각 기관, 민간단체의 노력만으로는 결코 이뤄지지 않는다. '고장난명(孤掌難鳴)'이란 사자성어가 있다. 한쪽 손으로는 손뼉을 울릴 수 없다는 뜻으로 안정적인 다문화 사회 정착은 대한민국 국민, 결혼이주여성, 외국인 노동자,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경찰 등 모두의 노력으로 이뤄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