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감귤출하연합회는 감귤산업 발전을 위해 출하·판매 전략을 수립하는 '컨트롤타워'다. 감귤출하연합회의 출하·판매 컨트롤타워 역할은 법적으로도 보장됐다. '제주도 감귤생산 및 유통 조례'에 따라 지난 1997년 5월 설치된 출하연합회는 행정·생산자단체·상인단체 등 감귤과 관련함 모든 기관·단체 등이 참여한 유통전략을 창출, 적정가격 유지에 총력을 쏟도록 규정하고 있다.

감귤 소득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기에 농가 등 도민들은 출하연합회의 역할을  뒷받침하기 위해 비용을 직접 충당한다. 올해 출하연합회 예산만 해도 전체 10억1400만원 중 제주도가 81.7%에 해당하는 8억2900만원을 출연했다. 나머지 1억2800만원은 농협제주지역본부·지역농협·감협 등이 부담, 출하연합회의 살림살이가 도민 세금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실정이다. 다시말해 출하연합회가 제 역할을 못하면 행정예산 지원을 중단하거나 축소해야 한다.

행정예산 지원 중단의 분위기는 최근 감귤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뚜렷하다. 감귤값 하락으로 농가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출하연합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탓이다. 감귤값 하락세에 대응할 출하·판매전략은 외면한 채 전국 도매시장별 가격정보 집계 등에만 치중, 설립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도매시장별 업무보조원의 감귤 거래동향 보고도 '출하량이 적거나 날씨가 맑으면 오르고, 출하량이 많거나 비 오면 내리는' 등 틀에 박힌 분석 일색이다.

'출하연합회=무용지물'의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는 효율적 출하·판매전략을 수립하는 유통분야 역량 제고가 과제다. 감귤거래 동향을 제공하면서 생산 위주의 완숙과 수확·출하량 조절을 농가에 주문하는 것은 '아마추어'와 다르지 않다. 심지어 감귤값 하락에 대응할 비상회의 개최 소식도 감감이다.

원희룡 지사도 세월호 선장에 빗대어 감귤값 하락 책임을 농협에 전가하기 보다는 출하연합회의 지도·감독에 더 힘써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