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경제 '틀'을 바꾸자 2. 산업 불균형 구조

3차산업 의존 고착…부가가치 반감 악순환
문화콘텐츠 80%가 단순생산형…기대 반감
 
신(新) 성장동력에 대한 지역적 요구와 달리 지역의 기형적 산업구조는 개선 여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 융복합, 창조산업 등 환경변화와 달리 3차 산업 의존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부가가치 효과가 반감되는 악순환은 지역 경제 성장의 제약 요인이 되고 있다.
 
산업·인력 배치 기형
 
제주 산업구조는 지난 1991년 1차산업 34%, 2차산업 4.7%, 3차산업은 61.3%던 것이 △2005년 1차 18.7%.2차 3.5%.3차 77.8% △2011년 1차 17.6%.2차 4.2%.3차 78.2%로 1차산업 의존도는 낮아지고 3차산업 쏠림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3년에는 아예 1차 산업이 15.0%까지 떨어진다. 제조업(2.8%), 건설업(8.4%)을 모두 더해봐야 3차 산업(73.7%)에 미치지 못한다.
 
2012년 제주지역 GRDP(지역내총생산)는 12조7067억원으로 전년(11조8470억원) 대비 8596억원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1차산업(농림어업)은 1조8904억원(16.10%), 2차산업(광업·제조업) 4286억원(3.65%), 3차산업(서비스업) 9조4207억원(80.25%)으로 1·3차 산업이 전체 96.35%나 된다. 감귤 가격과 관광 경기 등 경기 민감도가 높은 요인들이 지역 경제를 좌우하다 보니 환경 변화 등에 대응력이 떨어지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또 농촌 고령화와 자영업자 증가 등 경제활동인구의 불균형 배치로 지역 역량을 결집하는데 제약을 받고 있다.
 
고부가가치 전환 말뿐
 
산업간 융복합 등을 통한 고부가가치형 전환에 대한 주문이 속도를 내지 못하는 것 역시 이런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다.
 
최근 제주도 주최, 제주상공회의소(회장 현승탁) 주관으로 진행된 '제주의 새로운 성장을 위한 경제대토론회'에서 혁신적인 산업 생태계 조성에 있어 제주의 더딘 대응이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창조경제'에 있어 제주는 연구개발과 인적자원 등 '투입지표'만 전국 16개 시.도 중 10위 수준이었을 뿐 문화산업.정보통신기술 산업 등 인프라 지표는 15위, 혁신.산업성과는 최하위에 그쳤다.
 
실제 지역 문화콘텐츠산업 현황을 보면 문화콘텐츠사업의 46.2% 출판업이고, 응용서비스 분야의 90.0% 관광업, 문화공통기반기술업의 60.7%는 유통.서비스업으로 편중이 심했다. 콘텐츠 제작 환경이 취약한 상황에 83.3%는 단순생산형으로 분류되는데다 이중 65.5%는 창업 단계이거나 성장보육 단계로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전기업 유치'로 인해 수출과 경제성장률 제고 등의 효과를 보고 있지만 전문 인력 부재와 선순환 장치 미비로 지역 경기 견인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