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인생2막'을 열려는 도시민들의 행렬로 도내 인구 상승세가 뚜렷하다. 예전에는 탈 농촌 및 학업 이주 등으로 도내 인구의 이탈이 가속화됐지만 2010년부터 타 시·도 인구가 제주로 이주하는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2013년 7월 사상 첫 60만명을 돌파한 증가세가 계속되면서 2014년말에는 62만1550명을 기록했다. 2013년 60만4670명에 비해 2.8% 증가한 인구증가율은 전국 2위를 기록할만큼 전성기를 맞고 있다.

인구 증가세가 이어지자 행정의 발걸음도 빨라졌다. 정착한 이주민들이 도내 인구 증가율을 끌어올리자 2013년부터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등 안정적 정착에 팔을 걷어부쳤다. 제주 이주민들이 겪는 지역정보 부족과 문화적 차이, 마을주민들과의 불협화음 등을 해소하기 위해 오는 2016년 목표로 8개 분야 44개의 정착주민 정주환경 개선과제를 수립했다.

하지만 정착주민은 물론 정착 희망자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과제가 시행되지 않으면서 아쉬움이 적지 않다. 44개 과제 가운데 완료한 분야가 지원조례 제정 및 지원위원회 구성, 전담조직 설치, 정착정보 포털서비스 구축 등 행정 분야 중심의 8개에 불과, 정주환경 개선 실천이 미흡한 탓이다. 제주 이주민의 정착을 입체적으로 지원할 지원센터를 비롯해 거주 외국인들에 출입국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제주도외국인글로버센터 설립계획도 차질을 빚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오는 2021년 상주인구 70만명 목표로 정착주민 정주여건 개선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있지만 실천이 더 중요하다.

말로만 정착지원을 돕거나 개선 과제 시행에 손을 놓으면 제주로 이주를 희망한 잠재적 귀농·귀촌인구들이 타 시·도로 발길을 되돌리고, 정착주민까지도 제주를 등질 수 있다. 제주인구의 전성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착주민 정주환경 개선사업을 적기에 시행, 변화된 환경을 일찍 선점하는 공직사회의 분발이 필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