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총동창회·학부모회장 등 개인 명의로 운행중인 초등학교 통학버스는 정부의 폐교 정책에 맞서 학교를 살린 주민들의 상징물이다. 정부는 지난 1990년말부터 경제적 논리를 앞세워 학생수 60~100명 이하의 작은 학교를 폐지하거나 인근 마을 학교와 합치는 통폐합 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정부의 폐교정책으로 마을공동체 마저 사라진다면서 임대주택 건립, 학생 등·하교용 통합버스 구입 등 눈물 겨운 자구책으로 폐교 위기를 넘겼다.

총동창회장·학부모회장 등 명의의 통학버스가 이처럼 소규모 학교를 살리는 원동력으로 작용했지만 또 다시 시련을 겪고 있다. 지난 1월29일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등록을 하지 못해 운행 중단 위기에 처했다. 관련법상 오는 7월29일까지 한정면허를 받아 운행해야 하지만 총동창회장·마을회장 등 개인 명의의 예래초, 대흘초, 조천초 교래분교, 대정서초, 토산초, 하례초 통학버스 6대는 등록 자체가 불가능하다.

교육당국의 무성의도 주민들을 힘들게 하기는 마찬가지다. 고육책으로 교육당국에 통학버스 6대를 인수해주록 부탁했지만 제주도교육청은 "예산이 많이 소요된다"는 경제적 논리를 내세워 거절, 주민들이 지푸라기 조차도 잡지 못하는 실정이다. 결국 주민들은 25일 제주도의회 박규헌·허창옥 의원이 마련한 통학버스 중단위기 해결 정책간담회에 참석해 "학교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지만 교육청은 강 건너 불구경한다"며 성토했다.

도교육청은 주민들의 요청에 대해 "돈이 없다"는 논리를 버려야 한다. 농어촌지역 주민들이 어려운 생활여건에도 십시일반으로 힘을 모아 통·폐합 위기를 넘기는 점을 감안할 때 도교육청의 '돈 타령'은 설득력이 없다. 돈이 부족하면 자체 예산을 절감하거나 제주도에 요청해 재원을 함께 마련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무장해야 한다. 그래야 지난 교육감 선거 및 당선후 "한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이석문 교육감의 진정성을 주민들이 신뢰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