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사회부 한 권 기자

불과 1년 전이었다. 세월호 참사는 국가 재난대응 체계에 많은 반성거리를 던졌다.

무능한 사태 대응과 책임 회피와 전가 등은 '세월호'가 속절없이 깊은 바다 밑으로 사라지는 동안 부양했다. 달라졌다고 했지만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해 12월 '해수욕장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해수욕장 안전관리 주체가 해경에서 제주도로 이관됐다.

제주도는 지역 해수욕장 개장을 2개월 남짓 남겨둔 상황에 부랴부랴 해경 공백을 메우기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소집한 것도 모자라 회의 내용은 물론 결과까지 '비공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정부 건의'를 위한 회의라는 설명보다는 사전 의견 조율이 이뤄지지 않아 자칫 '볼썽사나운 모습'이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 쪽이 보다 설득력 있다.

전후 사정을 볼 때 물놀이 사고 등 안전사고 대비를 위한 논의보다 인력 투입을 놓고 제주도와 해경 모두 양측의 입장만 내세울 게 뻔하다는 예측을 지우기 어렵다.

해경은 법에 따라 육상이 아닌 해상 구조에만 전념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제주도는 이제와서 해경 인력이 빠진 자리를 전문 인력으로 메꿀 묘수가 없다는 사정을 대는 등 '책임 떠넘기기'에 대한 비난이 두려운 모양새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는 없다. 정부 탓이나 책임 떠넘기기로 시간을 낭비할 게 아니라 어떻게든 부족한 부분을 공유하고 필요하다면 민간과의 협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안전을 책임져야할 두 기관이 '쉬쉬'하는 동안 올여름 해수욕장 안전은 보장하기 힘들어진다. 제주도와 해경 모두 세월호 참사가 던진 가슴 아픈 교훈을 잊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