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 포커스]부동산 거품 심상찮다

▲ 서귀포시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최근들어 급등하는 등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서귀포시 동홍동 아파트 전경. 김지석 기자
주요지표상 30·40대 허수…원정청약 등 의혹
실수요자 부담 증가…지역별 양극화도 심화
 
제주의 땅값.집값 상승세를 단순한 개발 호재로 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중국인 수요와 혁신도시 등 대형 국책사업에 따른 개발 기대감이 컸다고는 하지만 부동산 가격이 조정 국면 없이 오르면서 거품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그만큼 서민 부담도 커졌다.
 
# '전매 차익' 수요 부쩍

도내 아파트 분양 시장은 '원정 청약' '가수요' 등으로 뜨거운 상황이다. 한동안 대단지 아파트 공급이 없었던 때문도 있지만 최근 흐름은 서귀포에 집중되고 있다.

금융결제원 등에 따르면 이달 초 1순위 청약접수를 실시한 '제주 강정 유승한내들퍼스트오션'은 전체 376가구(특별공급 123가구 제외) 모집에서 전 타입에 걸쳐 1순위 당해 마감을 기록했다. 평균 10.2대 1의 높은 경쟁률로 지난해 10월 강정지구 중흥S-클래스의 7.23대 1의 경쟁률을 앞질렀다. 두 건 모두 '당해 건설 지역 거주자 우선 공급'이 적용됐다. 실수요자라고는 하지만 상당 부분 '청약 분양권 전매차익을 노린 투자수요(가수요)'라는 것이 관련업계의 중론이다. 

서민들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국민임대아파트는 '사전 청약'에는 참패했지만 선착순 분양에서는 '웃돈 번호표'까지 등장하는 등 실수요보다는 시세차익을 감안한 '투자성'에 무게가 실렸다.
 
# 투자 허수…실수요자 부담 ↑

'가수요'나 '작전 세력'의혹에 힘을 보태는 것은 '인구 이동'추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통계청 등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제주로 주민등록을 옮긴 30.40대도 5924명으로 전체 순유입인구의 53.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컸다. 하지만 지역 고용시장에서는 이런 분위기를 읽기 어렵다. 지난 2012년 50대 취업자수가 30대를 앞선데 이어 그 격차가 계속해 벌어지고 있다. 30대 취업자 규모는 2011년 이후 6만2000~6만4000선을 유지하고 있다. 같은 기간 최소 1만 명이 넘는 30?40대가 제주로 주민등록을 옮겼지만 '거주'보다는 원정청약이나 농지 매입 등 '투자'를 위한 허수가 많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는 부분이다.
 
여기에 지역 가계소득에 비해 토지?주택가격이 상승하면서 실수요자들 부담은 물론이고 지역 내 양극화만 부추겼다.

제주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기준으로 지난해 노형동이 2012년 대비 9.5% 상승했고, 연동이 7.9%로 뒤를 이었다. 반면 건입동은 1.9%, 도남동은 3.8% 오르는데 그쳤다.
 
# 가계대출 부실 우려 '경고'

주택 시장 내 '분양가 거품'이나 금리 변동에 따른 가계 대출 부실 위험도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결과를 보면 2005년 58.3%던 자가보유율은 10년만인 지난해 59.0%로 0.7%포인트 증가했다. 하지만 2010년 61.4%까지 올라갔던 사정을 감안하면 오히려 후퇴했다.

현재 주택 마련을 위해 자금을 빌린 경우가 전체 44.3%. 2013년 대출금 상환 부담이 매우 크다는 응답이 전체 22.9%였던 것은 지난해 24.4%로 늘었다. 2012년 조사에서 5277만 5300만원이던 평균 대출금(현재주택마련, 금융기관 대출 기준)은 2년 후 그 의미를 잃었다. 지난해 금융기관 대출을 통해 현재 살고 있는 집을 마련(5만1326가구)한 10가구 중 3가구(30.8%)는 2012년 평균 이상(5000만원 이상)을 빌렸다. 1억원 이상 대출 가구 비중도 13.1%나 됐다.

최근 2년 내 이사를 한 가구(2만746가구)의 62.7%는 '집값이나 집세 부담'(복수응답)을 이유로 꼽았고 36%는 이 과정에서 집주인에게 나가라는 통보를 받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