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포커스]해수욕장이 불안하다

   
 
  ▲ 해경인력 감축으로 개장을 코앞에 둔 해수욕장 안전관리에 공백이 우려된다. 사진은 이호테우해변으로 개장이전에도 사람들이 발길이 이어지고 있지만 안전초소에 배치될 인력조차 확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김용현 기자  
 
민간요원 '구인난'…전문성·대응력 담보 못해
체계적 민관합동훈련 아직…공조체제 '탁상만'

해경인력 감축으로 개장을 눈앞에 둔 해수욕장 안전관리가 발등의 불이 됐다. 지역 해수욕장에 투입될 민간안전요원 확보는 물론 사전 교육·훈련 기간이 빠듯해 전문성을 담보하기 힘든 실정이다. 더구나 개정 전이나 비지정 해수욕장은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데다 해경과의 관리 이원화에 따른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현장 대응력 의문
 
제주도는 도내 11개 지정 해수욕장의 안전관리 필요인력 238명 가운데 106명(제주시 75명·서귀포시 31명)을 민간 전문가로 대체한다는 계획이지만, 인력확보부터 차질을 빚고 있다.  
 
8일까지 1차 민간안전요원을 공개모집중인 제주시는 4일 현재 62%(40명 중 25명)만 확보했다. 서귀포시도 오는 12일까지 인명구조요원(15명)을 모집중이지만 구인난을 겪고 있다. 
 
도는 제주적십자사 수상안전법강사봉사회나 해군 특수전전단, 해병대 전우회를 통해 민간인력을 확보할 방침이지만 해수욕장 개장기간인 62일 동안 현장 투입이 불가능한데다 전우회원 대부분 자격증을 갱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주시의 경우 2차 채용모집(35명)이 남아있는데다 서귀포시는 읍면동 단위로 자격증이 없는 비전문가(16명)를 추가 모집할 계획으로, 지난해 안전관리를 담당했던 해경이 4주간 현지 적응훈련을 실시한 것을 감안하면 민간안전요원의 전문성과 현장 대응능력을 담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이른 더위로 6월 중 수난사고가 발생하고 있지만 행정이 개장 전과 비지정 해수욕장에 대한 관리대책을 수립하지 않으면서 빈축을 사고 있다.   
 
△이원화 부작용
 
제주도가 올해부터 해수욕장 안전관리를 책임지게 됐지만 유관기관 간 공조체제는 '탁상'에서만 이뤄지면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해수욕장 안전관리 내실화를 위해 해경·소방·마을회 등 관계기관 회의만 수차례 가졌을 뿐 정작 민관 합동 훈련은 단 한차례도 진행되지 않아 상황 발생 시 엇박자 대응 등 혼선이 우려된다.

해수욕장 운영 기간에 이안류 발생이나 해파리 쏘임사고 등 위험요소가 산재, 능동대처 등 상황별 훈련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계획조차 세우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해경은 해상구조 업무만 담당하고 해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행정이 책임지는 등 안전관리 이원화에 '책임 떠넘기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안전관리 미흡으로 인한 물놀이 사고는 '안전도시' 이미지는 물론 관광산업 전반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체계적인 해수욕장 안전대책 수립이 시급하다는 주문이다.
 
한 권 기자 hk0828@jemin.com

인터뷰 / 고재문 제주한라대 응급구조과 교수

고재문 제주한라대학교 응급구조과 교수는 "현재 대한적십자사와 인명구조협회, 도내 대학에서 인명구조 인력을 양성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채용은 해수욕장 개장 기간에만 이뤄지는 등 아르바이트에 그치고 있다"며 "이는 인명구조원들의 경험 부족으로 이어져 요구조자의 2차적 손상까지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땜질'식 투입이 아닌 산·학 협력을 통한 전문요원 양성 시스템 구축 등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 여름 해수욕장에 투입될 민간 안전요원들에 대한 실효성 있는 교육도 시급하다"며 "실제 상황에서 이용객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지 등 역량 테스트는 물론 상황별 안전교육, 사고 사례 숙지 등 투입 전 재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고 교수는 "각 해수욕장마다 심폐소생술을 체험할 수 있는 부스를 마련해 이용객들의 안전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며 "또 각 마을과 협조해 물놀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내방송을 실시하는 등 민·관 협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경호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