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포커스] 공공기관 보안시스템 이대로 좋은가

2009년 '디도스공격' 이후 무선보안시스템 필요성 대두
전국 지자체·금융권 등 도입 운영…도내 기관은 구경만
 
오는 7월8일 정보보호의 날을 앞두고 도내 공공기관 보안시스템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공공기관을 겨냥한 사이버공격이 빈번해지고 있지만 도내 공공기관 보안시스템은 무선통신망을 악용한 해킹 차단에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2012년부터 매년 7월 둘째 수요일을 정보보호의 날로 지정, 정보보호 콘퍼런스 등 기념행사를 통해 사이버공격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009년 7월7일 청와대를 비롯한 국내 주요기관 홈페이지 등 20여개 사이트가 디도스(DDoS) 공격으로 전산망이 마비된 사건이 계기가 됐다. 

이에 따라 국내 행정기관은 물론 금융기관, 민간업체 등이 보안시스템을 대폭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무선침입방지시스템(WIPS)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테블릿PC 등이 생활화되면서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사이버공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방부와 병무청, 문화체육관광부 등 중앙부처는 물론 서울시청, 경기도청, 대구시청, 양산시청, 밀양시청, 한국철도공사, 교통안전공단 등 전국 공공기관이 무선침입방지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도내에서도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지난 2009년 공공기관 디도스 공격 이후 무선침입방지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사무실내 외부통신망을 자동으로 탐지해 차단, 인가된 내부통신망만을 이용하도록 한 장치다. 

노트북이나 테블릿PC 등을 통해 비인가 무선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 정보가 유출되거나 공공기관 전산망이 마비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하지만 JDC를 제외한 제주도청, 제주시청, 서귀포시청,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등 도내 주요 공공기관이 무선침입방지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때문에 도내 공공기관이 무선네트워크를 통한 사이버공격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만큼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기관 보안시스템에 대해서는 민감한 문제가 걸려 있는 만큼 구체적인 사항을 밝히기가 곤란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