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이후 6.8% 급락…그리스사태·위안화 절하 등 대외변수 영향

미국 달러화에 견준 한국 원화 가치의 하락세가 다른 주요 아시아국 통화에 비해 한층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스 위기에 이어 중국의 기습적인 위안화 절하 등 대외 불안 요인이 증폭된 가운데 외국인의 투자자금 이탈이 원화 가치 하락을 더욱 부채질한 것으로 보인다.
 
1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의 미국 달러화 대비 주요국 통화 환율 변화 추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초 이후 이달 13일 사이에 달러화 대비 원화 값은 6.8% 떨어졌다. 
 
이는 태국 바트(4.3%), 호주 달러(4.1%), 싱가포르달러(3.9%), 인도네시아 루피아(3.4%), 중국 위안(3.0%), 뉴질랜드 달러(2.5%), 인도 루피(1.8%) 등 다른 아시아권 신흥국 통화보다 더 큰 하락률이다. 
 
아시아 신흥국 가운데 말레이시아 링깃(7.0%)화가 유일하게 원화보다 달러 대비 가치 하락폭이 컸다. 
 
중국의 위안화 절하 발표 직후인 지난 12∼13일 환율(오전 8시 10분 기준)도 미국 달러 대비 원화의 가치 하락률(2.4%)이 말레이시아 루피아화(2.6%)와 중국 위안화(2.9%)를 제외하면 가장 컸다. 
 
인도네시아 루피아(1.7%), 싱가포르 달러(1.3%)의 하락률도 큰 편이었지만 원화 가치 변동에는 미치지 못했다. 
 
특히 지난 11~1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일중 극심한 변동성을 나타내며 시장참가자들을 '패닉' 상태로 몰아넣기도 했다.
 
중국 인민은행이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을 처음 변경 고시한 직후인 11일 오전 10시 15분부터 12분간 원/달러 환율은 무려 13원이나 수직 상승하는 급격한 변동성을 나타냈다. 
 
다음날인 12일에도 위안화 환율을 변경 고시한 오전 10시 15분부터 10분간 원/달러 환율은 12원 급등하는 등 엄청난 변동성 장세를 연출했다.
 
원/달러 환율이 지난달 이후 급등한 것은 그리스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커지면서 위험자산 기피 심리로 원화가 약세를 보인데 이어 그리스 사태가 일단락된 후에는 미국의 금리인상 이슈가 재부각되면서 달러화 강세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위안화 절하 이후에는 이를 중국의 무역수지 개선 의도로 풀이한 시장 참가자들이 글로벌 경기 둔화 전망에 따른 위험회피 심리를 키우면서 달러화 수요를 급격히 확대한 영향이 컸다. 
 
아시아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강세 기조가 형성되면서 원화를 비롯한 아시아 통화가 눈에 띄는 약세를 보였다. 
 
한국 주식시장에 투자한 외국인들이 중국경제 둔화와 원화 추가 약세에 따른 환차손을 우려해 자금을 빼가면서 원화 가치 하락이 가속화됐다.
 
손정선 외환은행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외국인 투자자의 환차손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가 국내 증시에서 자금 유출 요인이 된 점은 향후 원화 가치 하락을 가속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위안화 절하 사태 이후 원화 가치의 변동성이 한층 커지면서 외환당국도 긴장 모드에 들어갔다. 
 
기획재정부는 13일 은행회관에서 주형환 1차관 주재로 회의를 열어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외국인 자금 유출입을 점검했고, 한국은행도 같은 날 장병화 부총재 주재로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열어 금융시장 움직임을 살펴봤다.
 
외환당국의 한 관계자는 "서울 외환시장에서 위안화 절하의 충격은 13일 다소 진정됐다고 보지만 해외 시장에서 급격한 변동이 다시 나타날 수 있어 광복절 연휴 기간에도 24시간 점검체제를 유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연휴 다음날인 18일 오전 대책반 회의를 다시 연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