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생산조직 주도 생산출하안정사업 속도
제주형 자조금 시범사업 등 작목별 대응 시급

농산물 수급조절에 있어 농업인의 책임이 늘어난다.

제주 '당근'에 시도되는 실험은 '공동경영체'로 생산 농가를 묶어 품질 관리를 물론 출하 조절의 역할을 맡기는 것으로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제주농협 밭작물분과위원회(위원장 현용행 성산일출봉농협 조합장)는 31일 민간 참여형 사전 수급 안정 제도인 '공동경영체 육성'에 대해 논의했다.
 
기존 생산자단체(주산지 농협)와 공선회, 영농법인 조직을 '공동경영체'로 통합해 품종·품질을 균일화하고 생산 단계에서부터 '적정 출하량'을 기준으로 하도록 하는 것으로 과잉공급으로 인한 가격 하락 위기를 사전 차단한다는 것이 골자다. 
 
이들 구상은 특히 제주형 원예농산물 자조금 법인 구성과 연결되는 등 지역 밭농업에 변화가 기대되고 있다.
 
자율적인 수급조절 체계 구축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무임승차' 논란은 물론 기준 가격 설정 등에 있어 공감대 형성이 번번이 발목을 잡았었다. 
 
하지만 정부가 2018년까지 계약재배사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생산자 조직이 주도적으로 생산 및 수급조절을 하는 '생산출하안정사업'도입(출하안정제 2016년, 생산안정제 2017년)을 공식화하면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강원 고랭지 배추와 전남 양파·대파·배추에 이어 현재 제주 당근에 대한 주산지협의체 구성을 요청하고 있는 등 이르면 올해 안에 체화될 전망이다.
 
공동경영체 지정을 위해서는 주산지 지자체와 생산자조직, 통합마케팅조직, 도기관 등으로 구성된 지역 주산지 협의체 구성이 우선돼야 한다. 올 연말을 목표로 진행 중인 당근 자조금 사업 역시 예산 범위 내 자조금 조생액과 1:1 매칭을 기준으로 '재배면적과 생산·출하량이 도 전체 50%이상'인 조직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작목별 공동경영체 구성을 위한 논의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주문됐다. 고 미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