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감귤산업 '위기를 기회로'1. 감귤산업의 현 실

▲ 관광산업과 함께 지역경제 버팀목이 돼 왔던 감귤산업이 농산물 수입 확대, 국내산 과일관의 경쟁심화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사진은 서울 가락시장에서 감귤이 경매되는 모습.
농산물 수입확대·경쟁 심화…앞으로가 걱정
도, 감귤혁신 5개년계획 발표…돌파구 기대
 
제주 감귤산업은 관광산업과 함께 지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 왔다. '감귤나무=대학나무'로 회자될 정도로 호황을 누리기도 했지만 시장개방과 경쟁과일 등장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제주 감귤산업의 현 실태와 제주도의 감귤혁신 5개년 계획, 향후 과제 등을 3회에 걸쳐 연재한다. 
 
△생산량 늘어도 수입 줄어

제주도와 제주도감귤출하연합회에 따르면 2014년산 제주감귤 유통처리 결과 노지감귤 54만9733t, 하우스감귤 2만1113t, 만감류 4만9250t, 월동감귤류 2만7588t 등 모두 69만6763t을 처리해 6707억원의 조수입을 올렸다. 

하지만 노지감귤은 경우 최근 5년 평균치 대비 생산량은 4% 늘었지만 조수입은 3425억원으로 21% 줄었다. 

또 하우스감귤과 월동감귤류는 생산량이 각각 2%, 30% 증가한 반면 조수입은 16%, 0.2% 감소했다.

그나마 천혜향 등 만감류는 생산량이 34% 증가했고 조수입도 2132억원으로 14% 늘었다.
 
감귤 조수입의 감소는 잦은 비 날씨로 인해 노지감귤 상품비율이 하락했고 세월호 사고·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위축으로 경락가격도 낮게 형성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가공용 수매물량(15만8291t)으로 5년 평균 대비 74% 증가한 것도 원인으로 풀이된다.
 
도내 농산물 수입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감귤류의 조수입 급감은 지역경제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심각하게 받아 들여 진다.
 
△위기상황 직시 필요

문제는 감귤산업의 위기가 작년 한해로 끝난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이다. 자유무역협정(FTA) 확대로 농산물 시장 개방이 가속화되고 있고 국내산 타 과일과의 경쟁도 심화되면서다.
 
5월말 기준 우리 정부의 FTA 체결 현황을 보면 11건(49개국)이 발효중이고, 5건이 타결돼 국회비준을 앞두고 있다. 또 협상진행 2건, 협상재개 준비 4건, 협상준비 5건 등으로 시장개방 가속화가 예상된다. 
 
당장 오렌지만 해도 한미FTA에 따라 2018년부터 관세가 철폐돼 수입량이 올해 15만4000t에서 22만t으로 늘어날 것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전망했다.
 
또 지난해 국내로 반입된 수입과일이 바나나 35만9000t, 파인애플 7만5000t, 기타 22만2000t 등 모두 65만6000t에 달한다.
 
게다가 사과, 배, 딸기 등 국내 과일과도 시장경쟁을 하게 되면서 소비시장에서의 감귤 입지가 크게 좁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하우스딸기의 경우 높은 당도로 겨울과일로 입지가 강화되고 있고,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국민 1인당 감귤 소비량은 2007년 16㎏을 정점으로 매년 하락, 2024년 12,8㎏까지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감귤산업의 문제점

제주 감귤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지만 개선을 위한 노력은 미흡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감귤산업 육성발전(생산·유통) 계획이 체계적으로 추진되지 못했고, 관 주도로 정책이 진행되면서 농가 자생력을 약화시키는 결과가 초래됐다.

또 간벌·열매솎기 등 단기적 성과에만 집착하면서 장기적 정책개발 취약으로 동일한 문제가 반복됐다.
 
생산 구조적 측면에서는 저비용·고품질 안정 생산기반이 열악해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는 감귤을 생산하지 못한데다 수종갱신 노력 부족으로 감귤나무 노령화에 따른 생산성과 품질이 떨어지고 있다.

이밖에도 유통·가공분야에서도 유통조직·선과장 난립, 감귤 유통주체간 조직화 미흡, 제주감귤 대표 브랜드 육성 차질 등이 문제로 지적됐다.
 
양치석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관행을 바꾸고 의식·품질·유통혁신을 통한 감귤산업의 경쟁력·자생력 확보를 위해 감귤혁신 5개년 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승남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