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 고용률은 하락…OECD 최하위권

한국 55∼64세 장년층 남성의 고용률이 80%에 육박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상위권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한국 사회가 올해 들어 사상 처음으로 남녀 비율이 역전돼 여초(女超) 사회로 전환했지만, 여성고용률은 하락했다. 특히 출산·육아기에 해당하는 25∼54세 한국 여성고용률은 OECD 최하위권을 차지했다.
 
◇ 뼈빠지는 장년층, 생계비 벌려고 일 나간다
 
노후준비가 쉽지 않은 한국 장년층이 고용시장으로 돌아오고 있다.
 
28일 OECD의 2015년 2분기 회원국 고용률 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55∼64세 장년층 고용률은 65.5%로 OECD 평균 58%는 물론, 주요7개국(G7) 평균 61.3%를 웃돌았다. OECD 34개 회원국 중에는 9위로 상위권을 차지했다.
 
특히 남성 장년층 고용률은 78.8%로 OECD 평균 66.8%를 10%포인트 넘게 상회해 34개 회원국 중 최상위권인 6위에 올랐다. 여성 장년층 고용률도 52.5%로 OECD 평균 49.8%보다 높아 34개 회원국 중 16위를 차지했다.
 
이들 장년층 일자리의 질은 좋지 않은 편이다. OECD 고용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년층 피고용자의 49.5%는 시간제나 임시직 노동자였다.
 
LG경제연구원 이지선 선임연구원은 "노후준비가 부족한 장년층의 고용시장 복귀는 최근 2~3년간 지속되고 있는 추세"라면서 "최근 법정 정년이 60세로 연장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노후 생계비를 위해 다시 고용시장에 뛰어든 여성 장년층은 시간제 일자리 비중이 높은 보건이나 복지, 서비스업종으로 흡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경제연구원 김광석 연구위원은 "정년 연장과 퇴직 후 자영업에 뛰어들어 비임금 근로자로 분류되는 장년층이 늘어나면서 고용률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50대 초반까지는 빈곤율이 OECD 평균보다 낮은데, 55세를 기점으로 빈곤율이 급등해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이같이 노후준비가 미비한 수준인 만큼, 장년층 일자리를 더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 한국 출산·육아기 여성고용률 OECD 최하위권
 
올해 2분기 15∼64세 한국 여성고용률은 55.4%로 전분기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고용률이 전분기 대비 하락한 것은 1년 만이다.
 
한국의 여성고용률은 OECD 34개 회원국 중 28위로, 주요 7개국(G7) 평균인 63.4%는 물론 OECD회원국 평균(58.4%)보다도 낮다.
 
OECD 국가 중 여성고용률이 가장 높은 아이슬란드(82.1%)나 스위스(75.6%)와는 거의 30% 포인트 차이가 난다.
 
특히 출산·육아기에 해당하는 25∼54세의 여성고용률은 62.9%로 G7평균 71.9%는 물론, OECD 평균 67.3%를 크게 밑돌아 34개 회원국 중 30위를 차지했다.
 
15∼64세 한국 남성고용률은 75.6%로 OECD 평균 74%를 상회했으며, 34개 회원국 중 15위를 차지했다. 25∼54세 남성 고용률은 87.9%로 역시 OECD평균 85.7%를 웃돌았고, 34개 회원국 중에서는 11위로 상위권이었다.
 
우리나라의 주민등록 인구통계상 여성인구는 지난 6월 2천571만5천796명을 기록해 통계작성 이후 처음으로 남성인구를 앞질렀다.
 
LG경제연구원의 이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전형적인 M자형으로, 20대 초중반 높아졌다고 30대가 되면서 낮아지고 50대 이후 높아진다"면서 "여성고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육아와 일을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현대경제연구원 김 연구위원은 "청년과 장년층에 비해 극도로 떨어지는 여성고용률을 평균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면서 "여성고용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는 모양새"라고 지적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