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오는 12일 오전 10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조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한은 기준금리는 작년 8월과 10월, 올 3월과 6월에 0.25%포인트씩 총 1%포인트가 인하되고서 지난달까지 4개월 연속 연 1.5%로 동결됐다.
 
이번 11월 금통위에서도 일단 동결 전망이 우세한 편이다.
 
최근 내수 경기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타격에서 벗어나 회복기미를 보이는 등 작년 하반기부터 이뤄진 4차례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1.2%에 달해 6분기 만에 0%대 성장률에서 벗어났다.
 
특히 2분기에 메르스 타격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민간소비가 증가세로 돌아서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를 키웠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105로 전월 대비 2포인트 오르며 메르스 직전인 지난 5월과 같은 수준을 회복한 점도 이런 기대를 뒷받침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국내 경기가 예상했던 경로대로 가고 있고 소비개선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밝혀 추가적인 경기부양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했다.
 
따라서 이번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기보다는 그간의 금리인하 효과를 더 지켜보자는 쪽으로 결론을 낼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1천130조원을 넘어선 뒤에도 급격한 증가세가 멈추지 않고 있는 가계부채도 추가 인하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이다.
 
최근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으로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이 다시 부각된 점 역시 금통위원들이 인하 카드를 선택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기준금리를 이미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1.5%에서 더 끌어내리게 되면 내외 금리 차가 축소돼 외국인투자자금의 이탈이 가속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문홍철 동부증권 연구원은 "3분기 경제성장률이 긍정적으로 나왔고 미국의 12월 금리인상설이 다시 유력해진 데다 가계부채 문제도 있어 기준금리를 내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앞으로 상당 기간 기준금리는 동결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물론 이런 시각과 다른 견해가 없는 것은 아니다.
 
추가 인하 가능성을 점치는 쪽은 올 들어 계속해서 감소하는 수출과 대외 리스크에 따른 경기 약화 문제를 거론한다.
 
임동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3분기 경제성장률이 호조를 보였으나 이는 2분기에 메르스 여파로 위축된 것이 제자리를 찾는 과정일 뿐, 경기회복세가 지속된다고 단언하기 어렵다"면서 "1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1.5%에서 1.25%로 인하될 전망"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