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당발전과 쇄신을 위한 특별대책위원회"가 국민선거인단 방식의 경선제를 채택, 대의원을 "당 대의원"과 "국민 대의원"으로나눈데 이어 7일 당 대의원 구성방안에 대한 논의에 들어갔다.

◇지구당별 대의원 수= 핵심은 각 지구당에 대의원 수를 어떤 기준에 따라 배정하느냐는 것이다.

지역별 인구 비례로 하자는 주장과 지난 총선득표 수와 현역의원 수 등 당에 대한 지지도 비례로 하자는 주장이 맞서 있는 상황이다.

다시 말해 수도권과 영남지역 등 인구가 많은 지역이 대의원을 많이 가져야 한다는 것과 현실적으로 당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지역에 대의원을 많이 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두 견해 모두 일리가 있어 특대위 간사인 김민석(金民錫)의원은 이를 "철학적 문제"라고 부르고 있다.

현재 특대위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볼 때 지역별 인구비례를 중심기준으로 삼고 여기에 지지도 비례의 정신을 도입하는 쪽으로 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다.

특대위 관계자는 "지지도별로 대의원을 정할 경우 특정지역에 대의원이 편중돼 전국정당화란 지향점에 도달하기가 어려워진다"며 "지난달 말 특대위 워크숍에서도 지역별 인구비례로 하자는 의견이 주류였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지구당별 균등배분이 절충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선거구가 어느정도편차는 있지만 인구비례로 획정된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논리다.

◇대의원 선출방식= 역시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보완장치를 강구하는 쪽으로 방향이 잡히고 있다.

"어떻게 하더라도 지구당위원장의 입김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한 특대위원의 말이 이같은 방향 설정의 이유를 설명해준다.

우선 특대위는 지금처럼 지구당대회를 열어 대의원을 선출하되, 노.장층 및 남성 비율에 제약을 가하는 방안을 구상중이다.

즉 40대 이하 청년층과 여성 대의원 비율을 각각 40∼50%, 20∼30% 선으로 의무화해 청년층과 여성층의 정치적 관심을 높이는 효과도 거둔다는 복안이다.

또 지구당위원장이 자기계열 대의원을 심는 것을 막기 위해 동별로 대의원 수의제한도 두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특정지역에 집중돼 형평성 논란이 일고 있는 당연직 대의원의 비중을 줄여 당 대의원 수를 현행수준(5천명 가량)으로 동결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현재 총 대의원의 50%에 달하는 당연직 대의원은 10%로 대폭 줄어든다.

그러면서 지역편중 시비때문에 대폭 감축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던 기초의원의 당연직 대의원 배정은 현행대로 유지, 지지도별 비례의 정신도 도입한다는 구상도 추진되고 있다.

◇대선주자별 유불리= 지역별 인구비례로 대의원 배정이 결정될 경우 이인제(李仁濟) 노무현(盧武鉉) 상임고문 등은 유리하거나 현상유지를 하는 반면 당내 뿌리가 깊은 한화갑(韓和甲) 상임고문은 기득권에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그동안 대의원 수의 현행유지를 주장해온 한 고문측은 특대위의 "당.대권 분리 출마" 발표 때와 마찬가지로 반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만약 배정 기준으로 지지도 비례를 삼는다면 민주당의 취약지역인 영남을 근거지로 두고 있는 노무현 김중권(金重權) 상임고문은 물론 "탈(脫) 호남"을 주창해온 쇄신파들도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크다.(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