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연기 제주한라병원 외과의사·제민일보 의료자문위원

유방은 젖샘 조직과 유관들이 유두를 향해 관으로 연결돼 있다.

이 젖샘과 유관들은 수유기에 젖을 활발히 분비하고 수유를 통해 배출시킨다. 비 수유기에는 이러한 샘들이 말라 있으며 유관들도 위축돼 있다. 이런 휴면상태의 젓샘들과 유관에서도 미세하게 분비물들이 생성되며 유두를 통해 배출된다.

이런 분비물들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고 고여 감염원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유두 주위의 색소가 침착된 피부를 유륜이라 하며 유륜에는 많은 피지샘들이 존재한다. 이 피지샘들은 유두와 유륜의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유지 한다.

피지샘의 기형으로는 피지가 배출되지 않아 고이면 염증이 발생해 농양으로 변하기도 한다. 겨드랑이, 서혜부 등 땀이 많고 통풍이 어려워 습하기 쉬운 부위처럼 유두 유륜 주위 피부에도 습진이 발생하기도 한다.

유방이 큰 경우 유방과 흉벽이 겹쳐지는 부위에 만성적인 피부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만성적인 습진과 같아 보이지만 습진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조기 유방암의 일종인 파젯병과 감별해야 한다. 세제나 속옷에 대한 알레르기성 피부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유방에 발생하는 염증의 대부분은 피부에 존재하는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이다. 일반적으로 농양 형성 전에 발적된 피부와 분비물 등의 증상으로 염증을 진단하며 적절한 항생제로 치료한다.

농양이 형성된 경우는 절개 배농이 필요하다. 습진성 피부염은 스테로이드 연고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유방에 발생한 피부염이나 염증에 대한 감별 진단과 치료는 유방질환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유방의 피부염이나 염증성 질환 예방을 위해 유방은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과도한 자극이나 스크럽은 미세한 상처를 유발해 균이 침투하기 쉬우므로 피해야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