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내 해안변의 모래가 점점 없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새삼스런 일도 아니다. 연간 200만명이 넘는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우도 백사장도 갈수록 모래가 유실되고 있다는 인상을 주곤 한다.

이같은 해안 침식은 기후변화에 따른 수면 상승과 함께 무분별한 개발에 가장 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해안 침식을 막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개발을 지양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데도 오히려 해안을 중심으로 개발이 가속화돼 침식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매년 실시하고 있는 실태조사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확인되고 있다.

국민의당 황주홍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2015년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조사 대상 지역 250곳 가운데 60%인 136곳이 침식 우려가 있거나 심각한 상태로 밝혀졌다.

제주지역의 경우 11곳 중 A등급(양호, 안정적 퇴적 경향이 나타나며 백사장이 잘 보전된 지역·재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은 한 군데도 없다.

또 침·퇴적 경향이 나타나지만 안정적 해빈을 유지하는 지역인 B등급(보통)이 4곳에 불과하고 침식으로 인해 백사장 및 배후지역에 재해 발생 가능성이 있는 C등급(우려)은 7곳에 이르렀다. 

그나마 지속적인 침식으로 백사장과 배후지역 재해 발생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D등급(심각)이 없는 것은 다행이다. 

하지만 전년에 비해 등급이 개선된 해변은 하모 1곳에 그친 반면 B등급에 C등급으로 악화된 해변이 5곳이나 된다는 것은 크게 걱정되는 점이다.

특히 앞으로도 도내 해변은 관광객 증가와 관련 시설 확충 등으로 침식 우려가 더욱 높아져 대책 마련이 시급한 형편이다.

따라서 제주도는 관계기관은 해안변 경관 보호와 침식 예방을 위해 건축물 등 구조물 설치를 최대한 억제하는 한편 안전시설을 구축하는 데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