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옥 생물종다양성연구소 수석연구원·논설위원

전 세계가 미래먹거리 산업 발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 또한 지자체마다 미래성장동력 산업과 과학기술 역량강화, 지역산업 특성화 및 차별화를 위한 10~20년 후 미래 산업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제주의 환경은 다른 어느 때보다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인구유입과 관광객 증가에 따른 교통 환경, 주택난, 부동산 폭등, 농촌사회 고령화, 농업소득의 불안정, 환경파괴, 양질의 일자리 부재, 해안 및 고지대 난개발 등은 제주의 현안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과제들을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할 경우 제주도민의 행복지수는 점차적으로 낮아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견해다.

미래 제주변화가 가장 먼저 다가올 모습은 인구증가라고 생각한다. 가령 제주인구가 100만에 도달했을 때  제주도민의 삶의 질을 보다 높이기 위한  지역경제활성화가 동반되는 바람직한 넥스트(Next) 제주를 만드는 플랫폼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다.

내일의 제주를 만들기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는 뉴욕의 센트럴파크(Central Park)가 오늘날의 뉴욕시민의 산소탱크로 자리 잡기까지 건설 초기부터 많은 어려움과 역경이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 뉴욕 맨해튼은 문화공간, 휴식공간 뿐만 아니라 뉴욕시민의 자부심을 갖게 하는 안식처가 됐다고 한다. 우리 제주도 앞으로 100년을 본다면 제주시민의 프라이드를 갖게하는 제주형 센트럴파크를 제주시 중심으로 동서로 그려보는 것도 행복한 넥스트 제주를 만드는 하나의 길이라 생각한다

둘째는 농업바이오와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설계다. 최근 제주농업발전은 눈부시게 발전해 왔으나 대내·외 농업환경의 변화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은 점차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주된 원인으로는 소비시장과 거리가 다소 떨어져 있다는 점이고 그나마 경쟁력을 갖고 있던 월동채소 경쟁력도 뒷걸음질 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산업과 1차산업을 융합·육성해 재배에서 산업화까지, 그리고 신선채소와 가공상품이 동시에 시장으로 진입하는 바이오산업 기술 개발 계획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산·학·연 공동 인력양성 프로그램이다. 제주의 산업구조 및 전문가 인력풀은 타 지자체보다 매우 열약하다. 관련 연구비도 국내 총연구비의 0.25% 내외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 제주형 산업 인력 양성과 과학기술인 육성을 위해서는 제주형 산·학·연 협동프로그램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석·박사 연계 및 학부과정도 기업, 연구소, 대학 협력 시스템 구축으로 강화돼야 한다.

기업에서는 체험학점제, 연구소에서는 연구학점제, 이공계 대상으로 기술 마케팅 프로그램 등으로 이공계 인력이 비이공계로 빠져나가는 비중을 최소화 하기 위한 지역내 전략적인 산학연 프로그램이 개설돼야 한다. 그리고 여성과학기술 활용방안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

제주의 문화적 특징 등 다양한 이유로 전문성을 살리지 못한 여성이 비교적 많다고 한다. 따라서 과학기술교육프로그램에 테크니션 및 대학 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해 산업현장과 연구분야에 부족한 전문가 양성이 제주의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이 아닌가 싶다.

마지막으로 전략산업트렌드로 글로벌화, 지식기반, 융복합화, 4차산업 등이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제주의 취약한 제조업 분야에 규모화된 새로운 트렌드를 접목시키기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농업바이오와 연계된 4차산업을 융합시킨다면 차별화된 가치를 찾아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