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회의장 4·3특별법 제정 17주년 기념식서 밝혀
국정교과서 문제 지적…희생자·유가족 보상 현실화 주문

제주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과거사 청산작업을 재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희생자와 유가족 등에 대한 배·보상 문제는 범국민적 운동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강창일(제주시갑)·오영훈(제주시을)·위성곤 (서귀포시) 국회의원과 제주4·3희생자유족회(회장 양윤경)가 주최한 4·3 특별법 제정 17주년 기념 정책 토론회가 지난 16일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 '바람직한 과거사 청산,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진행됐다.
 

이날 토론회에서 정세균 국회의장은 서면 인사말을 통해 "4·3사건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 할 산들이 있다"며 "특히 지금까지도 4·3사건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불식되지 못해 유족 여러분께 다시금 깊은 상처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이어 "역사는 제대로 평가되고 계승돼야 한다"며 국정교과서의 4·3 축소·왜곡 문제를 지적한 후 "4·3사건을 포함한 과거사 청산 작업을 재개하고 완성해 다시 인권과 평화의 길로 매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미애 더민주당 대표는 축사를 통해 "민주주의를 소홀히 한다면 4·3의 비극은 앞으로 재연될 수 있다"고 경고한 뒤 "4·3을 어떻게 마무리 할까 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원희룡 도지사도 서면 축사를 통해 "4·3 피해자에 대한 배·보상은 4·3의 완전 해결을 위해 중요한 과제"라며 "도의적인 입장에서는 당연한 요구하고 생각하지만 해결에 이르는 과정까지 고민해야 할 문제들도 많다"고 전했다.

한성훈 연세대 역사와 공간연구소 연구교수 역시 제주 4·3의 배·보상 방안 주제 발표를 통해 "제주4·3에 대한 국가의 배·보상 방안으로 대상자 선정 당해년도 기준 10년간 연금방식을 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오영훈 의원은 배·보상 문제를 범국민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고, 양윤경 4·3유족회장은 국정교과서의 폐기를 촉구했다. 

이밖에도 장완익 변호사가 '한국의 과거사 청산은 어디까지 왔는가?-제주 4·3을 중심으로', 허상수 성공회대 교수가 '제주도민학살과 미국의 책임문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서울=김하나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