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립미술관, 소장품 중장기 수집정책 심포지엄
방향성·차별성 지적…"지역 공감대 형성" 주문 

공립미술관 관리에 있어 체계성과 전문성이 보강 돼야 한다는 '쓴소리'가 나왔다.

제주도립미술관(관장 김준기)이 16일 진행한 '제주도립미술관 소장품 중장기 수집정책'학술심포지엄에서는 수집정책 기준 마련이란 목적 외에 공립 미술관 운영 전반에 대한 문제가 도출됐다.

올해 문을 연 김창열미술관까지 공립 미술관이 7곳(도립·현대·이중섭·기당미술관, 소암·추사기념관)에 이르고 소장품이 3000여점이나 되지만 방향성 없이 외형적 확장에 그치면서 각종 부작용이 속출했다는 반성이 깔렸다.

실제 도립미술관 소장품 764점 가운데 현대미술관과 98점(13%), 기당미술관과 284점(37%), 이중섭미술관과 130점(17%)이 중복되는 등 차별성이 없다는 점이 지적됐다.

김영호 중앙대 교수는 "미술품 수집 보다는 지역 미술사에 대한 자료 수집과 미술관 운영체제 정비가 우선돼야 한다"며 "비엔날레나 미술은행 같은 사례만 볼 것이 아니라 어떤 형태로든 타협이 아닌 배타적 정책이 세워질 수밖에 없는 특수성을 감안해 지역 공감대부터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장 엽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2실장은 "'소장품'업무를 전담할 부서를 설치하고 지역 특성에 맞춰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심의위원회를 걸치건 공모를 통해 선정을 하건 일단 조직과 전문인력, 예산이 갖춰진 후에야 가능한 일"이라고 말했다.

공공수장고 계획에도 불구하고 '제주도미술대전 수상작'수집과 '미술은행'이란 공공성을 앞세울 경우 포화 문제를 반복할 수 없는데다 자산 또는 사료적 가치를 전제한 컬렉션 구축 작업에 대한 저항이 우려됐다.

특히 '심포지엄'임에도 불구하고 운영 미흡으로 자료집도 갖추지 못한 데다 토론자가 중간에 자리를 뜨는 상황까지 발생했는가 하면 미술관 운영위원 조차 참석하지 않아 텅 빈 채 진행되는 등 공론화에 대한 적극적 노력이 주문됐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