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공감제주 감동제주' 실현 현안 진단 5. 문화분야

'문화예술의 섬' 조성 본격화…인프라 구축 등 속도
자부담 폐지 등 기회 확대속 지역예술인 소외 우려

제주도정이 2017년을 맞아'제주 문화예술의 섬' 조성을 약속했다. 변화는 이미 예고됐다. 도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제주 문화 브랜드를 세계화하는 등의 얘기는 새롭지 않다. 세계섬문화축제 부활과 제주국제비엔날레 개최 등 지난해에 이어 대형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문학관 등 인프라 구축 등 속도감이 느껴지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 여전히 '소통' 필요성이, 정책간 융·복합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는 점은 신경이 쓰인다.

△ 올해만 1273억 투자 계획

'도민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문화브랜드 세계화' '문화와 산업의 융·복합화' '문화예술의 활성화 기반 조성' '독특한 지역 문화 발굴 육성' '종교문화 가치 발굴 및 활용' 등 6대 전략과제를 중심으로 제주를 '문화 예술의 섬'으로 조성하기 위해 올해 투입할 예산은 총 1273억원에 이른다.

문화예술창작지원(22개 사업·104억원)에 있어 '자부담'의무화 규정을 삭제했다. 지난해 개인 예술가에 이어 올해 단체에도 이를 적용하는 것으로 창작 지원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복안이다.

문화브랜드 세계화를 위해 UCLG 문화정상회의(5월)와 제주국제합창제(2월) 등 11개 사업에 31억4000만원을 투입한다.

인프라 구축 역시 속도를 낸다. 옛 제주대병원 자리에 가칭 '종합문화예술센터'을 개관하고 제주문학관 건립도 구체화한다. 문화예술 공공수장고와 공관어린이도서관, 작은 영화관 등이 속속 자리를 잡는다. 프린지 페스티벌·제주 아트 페스티벌 등 문화페스티벌 지원 계획과 제주국제관악제 등 기존 국제 행사에 대한 지원도 약속했다.

제주어와 제주학 관련 연구 등 11개 사업(31억4000만원)에는 '제주어대사전' 사업 착수·제주어 채록사업 및 표준어 대역 발간·승정원일기 등 제주역사기록 정리 등도 포함했다.

△ 하향식 정책 반발 확대

구상만으로는 올해 제주가 '문화예술의 섬'이 되는데 이견이 없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과연'이란 자조 섞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 지역 공연단체들에게 주어지는 기회는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각종 지원 사업들에 있어 자격 조건이나 기획력 등에 있어 지속적으로 밀리는데다 문화산업 융·복합, 청년 지원 등에 있어 상대적 소외를 호소하는 경우도 적잖다.

특히 대규모 사업의 경우 제주 예술인들의 입지가 좁아지는 상황이 반복되면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 대책을 주문하고 있지만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대안은 미흡하다.

올해 문화예술 시설 융자 확대와 창작활동 융자제도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제시했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여기 있다. '문화예술'에 대한 융자지원 근거가 없는데다 '가능성'에 대한 투자 장치도 없다.

원도심 활성화를 내건 문화재생사업과 (가칭)제주작가 전시관 조성 등의 계획도 밑그림 자체를 행정에서 그리다 보니 반발을 넘어 내부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세계섬문화축제' 부활에 대한 지역 의견 수렴 과정처럼 목표나 주체 등이 이미 결정된 사업을 앞세우는 것은 지역 예술단체들에게는 희망고문이나 다름없다는 지적도 여전하다. 

한 지역 문화단체 관계자는"이유나 명분 같은 것이 분명히 있겠지만 지역 문화예술 현실을 조금이라도 안다면 허울만 있는 '장밋빛 계획'이란 걸 알 수 있다"며 "지난해 문화예술의 섬 도민대토론회에서 제안된 내용이 몇 개나 반영됐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