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를 찾는 관광객과 유입 인구가 매년 증가하면서 하수 및 쓰레기 처리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상하수도관리본부가 관리하고 있는 하수처리시설을 별도 공단이나 민간에 위탁하는 방안이 논의돼 주목된다.

지난 16일 열린 2017년 1분기 제주도-의회 정책협의회에서 신관홍 도의회 의장은 "하수처리장의 용량이 부족하고 처리장에 근무하는 엔지니어 등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 의장은 또 "하수처리장은 업무 과중 등으로 공직자들에게 기피부서로 인식돼 1년도 안돼 다른 부서로 가려고 하는 현상마저 나타나고 있다"면서 원희룡 지사에게 하수 부문을 공단 또는 민간 위탁에 대해 검토해줄 것을 주문했다.

도상하수도관리본부에 따르면 도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제주시 도두동 소재 제주처리장(처리구역 제주시 19개동)만 하더라도 시설용량 하루 13만㎥에 하루평균 유입량이 11만9000㎥로 처리율이 91%에 이른다. 하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양이 70~80%인 점을 고려하면 이미 처리능력을 훨씬 넘어선 셈이다.

1곳당 4000~2만4000㎥로 총 시설용량이 10만1000㎥에 불과한 나머지 7개 처리장의 평균 처리율도 80%선에 육박하고 있다.

특히 1994년 3월 가동을 시작한 제주처리장의 경우 시설 노후화까지 겹쳐 수질 기준을 넘는 오염수가 바다로 방류돼 환경 오염과 함께 주민들과의 마찰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 하수처리시설을 민간에 위탁하면 전문성이 강화되고 유지·보수에만 매년 150억~200억원씩 투자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민간기업이 이익극대화를 위해 서비스를 소홀히 하거나 요금을 과다 인상하는 등 부작용을 낳을 우려도 없지 않다.

제주도는 하수처리시설 민간위탁에 따른 장·단점을 면밀히 분석,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