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만익 탐라문화연구원 특별연구원·논설위원

1월 30일 아침 뉴스에서 제주도정이 '산지생태축산 농장'을 조성하는 축산 농가를 지원한다는 소식이 들렸다. '산지생태축산'은 농림축산부가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지속가능한 축산업 육성' 정책에 등장하는 용어로, 제주도정이 축산업의 지속가능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서 반가운 뉴스였다. 

제레미 리프킨이 「육식의 종말」에서 현대문명의 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육식소비를 줄여야한다고 강조해도 여전히 육류소비가 증가하고 있어 축산업은 각국에서 중요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인식한 제주도정에서는 축산업을 발전시키고 나아가 축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정책들의 착근을 위협하는 장벽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중산간에 대한 '개발열풍'이다. 제주도정이 '청정과 공존'이라는 미래비전을 제시하며, 개발보다는 보존에 방점을 두고 있으나, 언론에 보도된 관광단지 개발과 제2신공항 건설 등을 둘러싼 논란은 제주도정이 개발의 급류 속에 빠져 있다는 인상이다. 

만일 '지속가능성'보다 '개발이 곧 발전'이라는 인식하에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면 제주의 미래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 지속가능성은 본래 인간과 자연의 공생,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개발은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소이다.

제주의 축산업은 1970~80년대 중산간 개발 붐이 불면서 초지가 골프장으로 잠식되며 그 성장이 정체돼 있다.

가축 수와 축산농가 수도 줄어들고 있어 제주의 축산업이 과연 앞으로도 지속가능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든다. 

그러나 제주지역은 목축의 전통이 유구하고 제주도민들은 '테우리'라는 유전인자를 가지고 있어 축산여건이 갖춰진다면 목축의 부활은 그리 어려운 과제가 아닐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주도정에서는 축산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산지생태축산 농장 조성사업' 등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마을공동목장과 미사용 산지를 활용해 축산물 생산비를 절감하고, 친환경 축산과 동물복지 등을 구현한다는 것이다. 

이에 덧붙여 초지잠식을 막는 정책이 시행됐으면 한다. 초지가 사라지면 사료를 수입해야 하고, 그래서 사료비가 비싸지면 우마를 길러도 수입을 올릴 수 없는 상황에서 축산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초지개발의 유혹에서 벗어나 초지보호 운동을 펼쳐야 한다. 1가구당 가축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제주에도 미국이나 뉴질랜드처럼 대규모 목장이 있었으면 한다.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는 대규모 목장 즉, 대규모 사육을 통해 생산비를 절약해 값싸게 육우를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바람직하다. 현재처럼 여러 지역에 분산돼 비효율적으로 방목되고 있는 우마들을 특정 마을공동목장에 모아 기르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목축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정책들이 마련돼야 한다. 말 산업 특구사업에 포함되어 있기는 하나 아직 구체적인 실현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 

목축문화가 소멸된 채 이뤄지는 축산의 발전은 영혼이 없다. 목축문화를 계승하는 일은 축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 든든한 토대가 될 것이다.

정유년 새해를 맞아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말 산업 특구 사업 운영 및 축산의 지속가능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관계 공무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한다. 앞으로 축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들이 효과를 거두어 제주 축산업이 과거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