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완 경기대학교 관광개발학과교수, 논설위원

대한민국의 국민과 국토와 국가를 지키기 위한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즉, 사드 구축에 대한 중국의 주권 침해와 상식을 벗어나는 보복을 보면 옹졸하고 유치하지만 국가적으로 피해가 만만치 않은 것은 걱정이 아닐 수는 없다. 특히 중국의 한국관광 금지조치에 따라 제주도는 물론 한국의 관광산업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7월에 사드배치 결정 이후 8월 한국방문 중국 관광객은 약 5%가 감소해 18년 만에 감소하기 시작했고 최근에 연동 바오젠 거리의 상인에 의하면 매출이 최소 50~80% 줄어들었다고 보도되고 있다. 말 그대로 제주관광이 휘청거리고 있다.

중앙정부와 제주도는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에 따른 관광객 급감에 대해 수많은 논의와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한다. 제주도 3명의 국회의원과 중앙부처실국장 합동 대책회의 내용을 보면 항공노선에 대한 다변화 노력, 환승 무사증 제도 검토, 국내 수학여행으로 전환 추진 등을 내놓고 있다. 제주도는 도민피해 지원과 위기극복 대책이라는 긴급대책을 발표했는데 크게 정리해보면 첫째는 내수시장을 확대하고 동남아 관광객 및 무슬림 시장으로 관광시장을 다변화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관광업체가 지원받은 관광진흥기금 상환을 유예하고 약 300억원의 경영안정자금을 융자 지원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4월을 제주관광 그랜드 세일 기간을 설정해서 630여개 업체가 최고 65%까지 할인 행사를 진행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내용은 중국인 관광객 썰물 사태에 대한 대책이라기보다 원론적이고 늘 봐왔던 낯익은 것들이다. 이 정도의 대책으로 중국인 관광객의 절벽 사태를 견뎌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번 중국인 관광객 썰물 사태는 표면적으로 보면 사드 보복이지만 근원은 관광 그 자체에 있다. 따라서 진단과 대책은 당연히 근원을 살펴야 하며 제주관광의 미래는 근원적 처방 여부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당장의 대책을 넘어 관광의 본질과 근원을 고민해야 하는 이유다. 

첫째, 관광은 본질적으로 외부환경의 지배를 받으며 관광 수용의 입장에서는 이 외부환경을 조절한 마땅한 묘안이 없다. 즉, 관광은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번 사드 사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미국 9·11테러 사태 및 전쟁도 여기에 해당하며 기후 재난재해, 인간 및 동물의 질병이나 전염병, 그리고 정치적 및 경제적 상황 등이 관광을 지배하는 대표적인 외부환경이다. 

둘째, 제주 지역의 관광산업 의존율이 너무 높다. 관광산업의 비중이 70%를 넘는다는 것은 관광이 흔들리면 제주경제는 속수무책의 사단이 나는 산업구조가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외부환경의 요인이 예기치 않게 관광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을 때 나머지 30%가 관광부분을 보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결국 관광에 목숨을 거는 취약한 산업구조에서 지역경제의 붕괴와 혼란은 예정된 미래이다.

셋째, 제주도를 넘어 한국의 문제이지만 관광을 너무 산업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부 학자는 한국의 서비스 산업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낮으며 서비스 산업을 국가 성장동력으로 키워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트럼프가 미국의 제조업을 다시 육성하는 것처럼 오히려 그 반대의 주장이 더 지지되고 있다. 대체로 후진국의 경우에는 관광을 경제적 측면에서 산업으로 접근하지만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사회현상이자 삶의 문화로 접근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번 사드와 관련한 중국인 관광객 절벽이라는 위협은 제주관광의 예정된 미래에 대한 근원적 성찰과 재정립의 기회가 돼야 한다. 이제 제주관광은 외부환경에 의해 지배되는 관광의 본질을 인정하면서 지역경제의 안정과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관광이 돼야 한다. 제주의 가치와 정체성을 지키면서 그 무엇에 종속되지도 않고 가식도 없이 의연하게 나아가는 지역사회 기반의 지속가능한 관광이 돼야 한다. 관광에서도 과유불급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