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평화정신 제주를 넘어 세계로 4. 화해와 상생 핵심, 평화·인권 교육

"역사를 잊은 민족은 희망이 없다. 용서는 하되 잊지는 말아야 한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한 4·3평화·인권교육 현장에서 명예교사들이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말 가운데 하나다.

제주도교육청은 2015년부터 도내 각급 학교에 의무적으로 4·3평화·인권교육을 1시간 이상 편성토록 하는 4·3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올해 4·3교육은 4·3 교육주간인 4·3희생자추념일 3주간(3월 20일∼4월 8일)에 진행되고 있다. 이 기간중 도내 83개교에서 명예교사 29명이 나서 생생한 경험담과 평화·인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장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제주도에서는 지난 2013년 4월 ‘제주특별자치도 각급 학교의 4·3평화교육 활성화에 관한 조례’가 공포된 이후 나름대로 4·3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4·3교육 교재가 모든 학교에 배부되고, 학교의 4·3유적체험을 지원하는 사업도 시작됐다. 그러나 4·3인권교육이 교육주간에 집중되고 있어 교육의 질을 위해 연중 편성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 역사 교과서는 4·3에 대해 제한적으로 기록하는 등 4·3교육이 ‘제주도만의 교육’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큰 상황이다.

올해 발간된 국정 역사교과서는 4·3을 축소·왜곡해 도민사회의 큰 반발을 샀다. 특히 2018년도 수능시험 연계 교재인 EBS 「수능특강 한국사영역 한국사」는 4·3 원인을 ‘좌익세력의 무장 봉기’로 왜곡하고 구체적인 도민피해도 생략했다. EBS 수능교재는 전국 고교생들에게 잘못된 4·3역사를 가르치는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잊혀져가는 역사의 흔적인 4·3유적지 복원 및 정비도 더디다. 도내 4·3유적은 잃어버린 마을, 희생터, 은신처, 수용소 등 597곳에 이르고 있다. 4·3유적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4·3유적에 대한 스토리텔링과 탐방프로그램 등도 개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유적지를 찾거나 탐방프로그램에 나서는 도민과 관광객 등에서 4·3을 올바르게 알리는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

도내 학생을 대상으로 한 4·3평화·인권교육이 시행 3년째를 맞으며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만큼 지금부터는 평화·인권 교육을 도민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평화와 인권은 어느 한 세대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공유해야 할 가치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