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우 감귤사랑동호회장, 논설위원

얼마 전 감귤관련 세미나에서 감귤산업 전망과 위기 극복 방안에 대해 듣고 난 후 아직도 너무 형식적이고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오히려 현재의 실태를 파악하지 못한 정보는 감귤산업에 더 큰 위기로 다가올 수 있다는 느낌도 들었다. 지금이라도 감귤산업의 현 실태를 정확히 직시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위기 극복방안이 무엇인지를 감귤 관련 모든 당사자가 함께 공유하고 고민해봤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본다. 

우선 감귤농가의 수익을 생각해 보자. 2016년산 감귤 가격이 좋았다고는 하지만 생산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일부 상인들에게 혜택이 돌아갔고 재배 농업인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2013년산의 경우 품질이 좋아 최고의 가격을 받았을뿐 2014년과 2015년산의 경우는 자연재해 등으로 감귤 농사를 계속 지어야 하는 고민에 빠지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2016년산 조수익은  대략 노지감귤의 경우 2700억을 2만2000명으로 나눠 보면 1200만원이고 인건비, 농약, 비료값 등을 제외하고 나면 1년 순소득이 800만원이라는 단순 계산이 된다. 이것으로 과연 두 부부가 살아 갈 수 있을지 참담하지 않을 수 없다. 30~40년 전 대학나무 시절엔 15㎏ 상자당 4000~5000원이었으니 몇 상자만 팔아도 2만원대였던 서울대 등록금이 해결됐다. 제주-목포행 가야호, 안성호가 640원 시절과 최근 카페리 몇만원을 비교해 보면 격세지감이고 우리 감귤이 왜 이지경까지 왔는지, 그동안 우리가 얼마나 안일하게 생각해 왔는지 안타깝기만 하다.

남을 탓하기 전에 우리 농업인들부터 반성해야 해결될 수 있을 것 같다. 

둘째, 대통령 공약사업인 감귤 명품화사업이 올해로 끝난다. 7000억원을 투자해 감귤의 경쟁력을 높이고 제주생명산업인 감귤이 제2의 대학나무로 변신하길 기대했지만 '귤로장생'이라는 브랜드 개발 말고는 뚜렷하게 생각나는 실적이 많지 않은듯하다. 물론 이 사업은 약속했던 국고 지원이 절대적으로 뒷받침이 안됐기에 어쩔 수가 없다는 것은 이해하지만 어쨌던 좋은 기회를 잃었다. 지금이라도 지나간 정책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을 정리해 이번 대선공약에 감귤산업 회생책으로 포함 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FTA 등으로 어려울 때 우리의 방패막이가 돼준 계절관세가 품목별로 끝나간다. 이제 더 이상 관세혜택이 없어져 정말 무한경쟁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 엄청난 물량의 오렌지, 체리 등이 관세없이 우리 시장에 들어옴과 동시에 딸기등 국내 경쟁과일들과 경쟁해야 하는 현실에 우리 감귤이 지금과 같은 안이한 대처로 살아남을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 

넷째, FTA 기금 역시 끝나가는데 농식품부 관계자의 표현은 '제주감귤에는 타지역 대비 수없이 많은 돈을 줘도 밑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지원받기 위해 중앙정부에 제출할 논리는 준비돼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아무리 어려워도 포기할 수는 없다. 대체 작목이 없는 현실에서 감귤 포기는 새로 시작하는 품목 역시 과잉출하로 인해 가격이 하락되기에 어떻게든 감귤로 승부해야 한다. 농가는 간벌과 피복재배, 낮은 배수로 조성 등으로 지금보다 더 맛있는 감귤을 생산해 소비자에게 신뢰 받고 행정은 중앙부처로부터 지속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 수립이 중요하다. 농·감협 등 생산자 단체는 최저값 보장과 농가가 신뢰할수 있는 지도사업을 더 강화해 계통출하 증대뿐만 아니라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을 위한 고품질 생산지도, 경영비 절감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추가한다면 상기 제안들을 제시하고 조언해주는 어느 노교수를 비롯한 많은 재배농가들의 조언에 귀기울여주면 좋을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가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남만 잘못하고 남에게만 변하라고 할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의식전환을 한다면 감귤 산업은 분명 희망이 보일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