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지방선거부터 지역구 도의원 정수를 현행 29명에서 31명으로 늘리는 제주도의회 선거구획정위원회의 작업이 막판에 난기류를 만났다. 선거구획정위는 헌법재판소의 시·도의회의원 인구상한선 3만5444명을 초과한 6선거구(삼도1·2동, 오라동), 9선거구(삼양·봉개·아라동)의 위헌 문제 해소를 위해 지난 3월부터 지역주민 공청회 등 의견수렴에 나섰다. 6선거구는 주민들이 삼도1·2동, 오라동으로 나눌 것을 요구하면서 최종 분리작업도 순항할 것으로 보인다. 

6선거구와 달리 9선거구는 진통을 예고했다. 당초 주민 정서와 지리적 인접 특성을 고려해 아라동, 삼양·봉개동으로 분리하는 방안이 유력했지만 3개동 지역주민간 의견차이를 드러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헌재의 인구 하한선 8861명에 미치지 못한 봉개동은 아라동이나 삼양동 중 어느 한 지역과 묶여야 하지만 아라동·삼양동 모두 향후 인구 증가 추세를 예상하며 별도의 독립 선거구를 요구, 홀대감을 느낄 수 있다.

봉개동 주민들의 홀대감은 지난 11일 9선거구를 대상으로 한 선거구획정위의 마지막 공청회에서 표출됐다. 봉개동 주민들은 "정서·역사적으로 100년 넘게 이웃으로 지내온 삼양동과 한 선거구로 묶이는게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제시한 반면 삼양동 주민들은 아라동처럼 독립 선거구를 원하면서도 봉개동이 느낄 소외감을 우회적으로 거론, 선거구획정위가 방안을 제시해달라고 요청했다. 선거구획정위가 방안을 제시한후 주민설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삼양동 주민들의 의견처럼 선거구획정위가 합리적인 방안을 우선 제시하지 않으면 9선거구의 조정작업은 자칫 삼양·아라·봉개동 3개 지역간 감정 대립을 낳을 수 있다. 주민합의가 원만히 이뤄지면 문제가 없지만 의견차가 클 경우 갈등만 심화시키기 때문이다. 공청회처럼 선거구 조정 과정에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공론화가 필수이지만 주민에게 결정을 떠넘기는 것 또한 위험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