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원 직접 투입 면적·품종·수령·본수 등 28개 항목 조사

제주도가 13년 만에 감귤 재배실태 전수조사에 나서면서 그동안 정확한 통계도 없이 감귤정책을 수립해 추진해왔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감귤은 제주의 생명산업인데도 그동안 정확한 실태조사 없이 최근 몇 년간 통계를 기반으로 생산량을 예측하고 출하가 마무리된 후 조수입 통계를 잡아왔다.

이 때문에 최근 농협이 감귤재배농가를 대상으로 ‘의무자조금 가입 미 납부동의서’를 받으면서 동의율이 고무줄 기준이라는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2015년 통계청은 감귤농가가 2만4643농가라고 조사했다. 하지만 제주도는 3만1458농가로 조사하면서 무려 6815농가나 차이를 보였다.

농가수도 문제지만 생산량과 출하시기 조절과 밀접한 재배면적과 품종, 나무의 수령에 대한 통계도 정확한 조사없이 과거 자료를 토대로 추계하는데 그치고 있다.

최근들어 증가한 시설재배 역시 면적은 물론 설치연도, 가온여부에 대해서도 정확한 실태조사 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이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자 제주도는 뒤늦게 감귤 재배실태 전수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대상은 통계청 위성영상 판독자료에 의해 감귤원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이번 정밀전수조사에는 총 6억원이 투입된다. 서면 조사에서 탈피해 현장조사용 스마트폰 하이브리드 앱을 조사원 개인 스마트폰에 설치해 조사원이 감귤원 방문조사 및 농가 대면조사 결과를 현장에서 항목별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조사항목은 필지현황, 과원현황, 시설현황, 고품질기반 현황, 경영주 현황, 응답자 현황으로 구분되며 총 28개 항목이다.

현장조사는 7월1일부터 8월30일까지 이뤄지며 조사결과 검증과 농가열람을 거쳐 10월중 공표될 예정이다.

한편 감귤원 전 필지 대상 재배실태 전수조사는 1996년과 2004년에 이어 이번에 13년만에 이뤄진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