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한·미 공식 발표 후 중국 보복 여전히 지속
최근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 무산 등 양국 관계 냉각
중국인 의존도 낮추기 위한 해외 마케팅은 성과 미흡

한반도 사드 배치가 공식화된 지 만 1년이 지난 가운데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특히 한·중·일 정상회담이 무산되는 등 동북아시아 정세가 더욱 냉각되면서 '방한금지령' 장기화 우려 등 제주 관광업계의 속앓이도 깊어지고 있다.

한·미 양국은 지난해 7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를 주한미군에 배치키로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후 중국 외교부는 성명 발표 등 즉각적인 반발에 나섰으며, 현지 언론 역시 경제관계·왕래 금지, 중국시장 진출 불허, 군사적 대응 등을 자국 정부에 촉구했다.

중국 정부는 같은해 10월 방한 관광객수를 20%로 줄이라는 지침을 자국 여행사에 전달하면서 '사드 보복'을 본격화했다.

지난 1월에는 우리나라 3개 항공사가 신청한 8개 노선의 중국행 전세기 운항을 불허했으며, 중국 항공사들 역시 제주행 정기편 운항을 앞다퉈 중단했다.

특히 중국 여유국은 지난 3월 한국행 관광 상품 판매를 전면 중단하는 '방한금지령'을 내렸으며, 5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 관광당국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시장다변화에 착수, 일본인 관광객 활성화 및 무슬림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해 팸투어 등 다양한 해외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지만 아직 괄목한만한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실제 올해 1~5월 제주를 찾은 일본인 관광객은 1만4432명으로 전년 2만393명 대비 29.2% 감소했으며, 동남아시아 역시 홍콩·싱가포르·말레이시아를 제외한 대만·인도네시아·베트남·태국 등은 전년보다 오히려 발길이 줄었다.

더욱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해빙될 듯 보였던 한·중 관계는 중국 정부에 의한 한·중·일 정상회담 개최 무산 및 한·미 정상회담 등으로 다시 냉각되면서 금한령 해제가 더욱 장기화될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도내 관광업계 관계자는 "7월 혹은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는 8월에 금한령이 풀린다는 소문이 무성하지만 한·중 관계는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며 "유커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타 국적 외래객 유치도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어 제주 관광업계의 시름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