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은주 사단법인 제주올레 상임이사·논설위원

문재인 정부 들어서 지난 주 처음으로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지원위원회에서 '청정과 공존'이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에 포함되었다. 이번에 제주특별법 1조에 새로 추가된 '환경 친화적인'과 '도민 복리 증진'은 앞으로 제주 개발 행위에서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다. 최근 몇 년동안 투자와 개발만이 제주도의 살 길인양 달려온 현실을 비추어 보면, 이런 변화는 매우 기대감을 갖게 한다.   

달라지는 제주특별법에 따라 '제주 난개발의 주역' '제주 부동산 개발 회사'라는 비판을 받아 온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의 사업 방향도 바뀌기를 기대해 본다. 지난 15년 간 진행된 제주도의 굵직굵직한 개발 행위 뒤에는 늘 JDC가 있었다. JDC는 영어교육도시, 신화역사공원,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첨단과기단지, 헬스케어타운 등 7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 7개 프로젝트는 제주도의 자연을 '제물'로 삼은데 비해 그 효과는 아직 가시적이지 않다. 그 때문에 JDC는 '제주 땅을 다 팔아치웠지만 제주도에는 기여한 바가 전혀 없다'는 비난을 받아 왔다. 

물론 JDC에서는 억울하다고 항변한다. '대부분 사업이 아직 진행중이어서 그 효과가 아직 도민들의 피부에 와 닿지 않는 것이지, 사업이 완료되면 도민들의 평가가 달라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 JDC가 추진했던 대규모 개발사업에서 경제적인 성과가 나올 것은 분명하다. 일자리도 늘어날 테고 그로 인한 경제적 파급 효과들도 나타날 것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JDC가 앞으로도 계속 자연을 희생양 삼아 일자리를 만들고 경제 발전을 꾀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해도 좋다는 면죄부가 발부되지는 않을 것이다. 제주특별법 1조에 명시되는 것처럼 앞으로 추진되는 개발 사업은 환경 친화적이면서 도민들의 복리를 증진시킬 수 있어야 명분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JDC 내부에서도 인식 전환이 일어나는 듯하다. 이광희 이사장 취임 이후 JDC는 '하드웨어적 개발 대신 소프트웨어 개발로 사업 방식을 바꾸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슬로건도 '개발에 대한 바른 생각으로 제주의 가치를 키우겠다'로 바뀌었다.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공사 명칭 공모 설문을 실시해 '개발'을 빼는 방향의 명칭 변경에 나서는가 하면, 소통위원회를 만들어 지역 사회와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더 늦기 전에 사업 진행 단계에서부터 도민과 적극 소통하고 개발에 대한 바른 생각으로 JDC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이광희 이사장 말대로 JDC가 사업 방식을 바꾼다면, 앞으로 제주 사회에 기여할 방법은 많을 것 같다. 

JDC는 우선 제주의 가치를 '부동산'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제주 고유의 문화와 환경 그리고 사람으로부터 찾는 훈련부터 해야 하지 않을까. (사)제주올레 서명숙 이사장이 점처럼 흩어져 있던 제주의 자연과 문화에 주목해 '걷는 길'이라는 선으로 엮어 새로운 가치를 부여했던 것처럼, JDC 또한 제주의 숨은 보물을 찾아내 새로운 프레임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선순환 방법을 찾아보면 어떨까. 가깝게는 JDC가 기존에 하던 사회공헌 사업들을 잘 들여다보고, 그 안에서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방법도 있을 것 같다. 인재양성이나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업을 일방적인 지원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혜자들이 다시 또 다른 사람들을 지원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 말이다. 커뮤니티 비즈니스 수혜 마을이 수익의 일부를 다시 다른 마을 사업에 지원할 수 있게 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JDC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도내 전문 단체나 기관들과의 협업과 파트너쉽을 강화한다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