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 도매시장으로 월동무를 출하할 성산읍 등 제주지역 재배농가들의 경제적 고통이 클 것으로 보인다. 가락동 도매시장을 운영하는 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의 월동무 거래방식이 현행 차상경매서 하차경매로 변경, 비용부담이 크게 늘어남에도 정부가 국비 지원을 외면하기 때문이다. 또 제주도정의 지원 역시 '생색내기'에 그치면서 농가 소득 감소는 농촌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는 2년전 예고한 것처럼 올해 11월부터 가락시장내 제주산 월동무의 상차경매를 하차경매로 바꾼다. 작년까지 18㎏단위로 비닐포장후 컨테이너에 담아 운반한 수송용 차량에서 통째로 거래됐던 차상경매를 올해부터 금지한 것이다. 그 대신 월동무를 20㎏ 종이박스 포장후 팰릿에 적재해 운송한 차량에서 다시 박스를 내려 거래하는 하차경매만을 허용함으로써 포장재비, 하차비, 운송료 등 물류비가 차상경매에 비해 더 늘어난다. 

이처럼 제주산 월동무의 하차경매 전환으로 물류비 부담이 늘어남에도 정부·제주도정의 농가 지원책은 무성의하다. 연간 7만t 출하기준으로 물류비 38억1500만원과 박스출하 관련 시설비 20억7000만원 등 58억여원이 추가로 소요되지만 지원책이 미미한 탓이다. 정부는 물류비 지원 요청을 거부했고, 도는 물류비 38억여원의 60%만 지원한다는 소극적 입장이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지원액도 팰릿당 8000원씩 5억원 안팎에 불과하다.

제주산 월동무가 전국 시장 100%를 점유, 소비자에 안정적으로 공급함에도 경매방식 전환에 따른 추가 비용을 농가에 부담시키는 것은 정부·도·서울시의 책임회피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제주도가 추가 물류비의 60%만 지원하겠다는 것은 농촌경제를 무시하는 발상이다. 부작용이 적지 않은 도심지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800억여원을 쏟아붓는 제주도가 농촌의 경제적 고통을 외면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