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 최대의 비극 가운데 하나인 제주4·3이 내년에 70주년을 맞는다. 제주 4·3은 숨죽여왔던 통곡의 역사다. 그동안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금도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과제가 산적한 것 또한 사실이다.

제주4·3은 도민들의 염원 끝에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4·3특별법) 제정과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 발간, 제주4·3평화재단 출범, 제주도민과 희생자 유족에 대한 대통령 사과 등 많은 성과를 거뒀다. 국가추념일까지 지정됐지만 누구도 제주4·3이 완전 해결됐다고 말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문재인 정부는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시켰다. 특히 내년 제주4·3 70주년 추념식에 대통령이 참석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같은 상황에서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4·3제70주년범국민위원회 등이 4·3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당연하고 필요한 일이라고 여겨진다. 그동안 4·3에 대해 미국 또는 미군정의 책임을 묻는 주장은 수차례 제기됐으나 범국민적으로 그들의 책임을 요구하는 운동이 벌어지기는 처음이기 때문이다.

제주4·3은 미군정이 통치하던 시기에 발생한 민간인 대량학살 사건이다. 당시 미군정은 작전통제권을 행사하며 4·3에 벌어진 폭력사태를 알고 있었으면서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4·3 당시 제주지구 미군사령관 브라운 대령은 "원인에는 흥미 없다. 나의 사명은 진압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4·3진상보고서에도 4·3사건의 발발과 진압과정에서 미군정과 주한미군 고문단의 책임을 명시하고 있다.

그런데 70년이란 긴 세월이 흐르도록 미국 정부는 아무런 말이 없다. 미국과 한국정부는 4·3 당시 미군정과 군사고문단의 역할에 대해 공동조사에 나서야 한다. 미국은 제주4·3 당시 수만명의 민간인이 학살된 것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사과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