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열 경남대학교 교수·논설위원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 이번 목요일에 치러진다. 올해에는 수능과 관련된 보도가 유난히 많았다. 수능 성적을 상대평가 방식으로 산출하여 표기하던 것을 절대평가 방식으로 전환하자는 주장을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 있었기 때문이다. 

수능 일에는 온 나라가 수능 중심으로 움직인다. 수험생들의 이동에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대부분의 직장의 출근 시간이 공식적으로 늦춰진다. 듣기 시험시간을 전후해서는 항공기 이·착륙도 금지된다. 온갖 언론 매체들은 수능 당일에는 문제에 대한 평을 곁들인 수능 소식을 톱기사로 보도한다. 교육당국은 수능 사고가 없길 기대하면서 긴장된 하루를 보낸다. 수험생을 둔 학부모는 자녀가 수능을 잘 치루기를 기원하면서 노심초사한다. 온 나라가 이렇게 수험생 못지않은 긴장된 하루를 보내는 것은 수능 결과에 따라 대학진학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수능대박'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수능 성적은 수험생이 어떤 대학으로 진학하느냐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현재 대학입학전형제도는 전형시기에 따라 수시와 정시로 나뉜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수능 성적, 자기소개서, 학교생활기록부에 나타난 내신 성적, 수상 실적이나 봉사활동 등과 같은 기록 등 다양한 전형자료들을 전형시기에 따라 달리 활용하여 학생을 선발한다. 수시전형에서는 주로 학생부종합전형이라는 이름으로 자기소개서를 비롯하여 고교내신 성적을 전형자료로 사용한다. 올해에는 대학들이 수시전형으로 입학정원의 80% 남짓을 선발하고 있다. 수시 전형이 현재로는 대세라고 할 수 있다. 대학입학전형제도가 이렇게 정시 위주에서 수시 위주로 바뀌면서 이전보다 수능이 미치는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대학들이 수시 합격자들에게 수능 성적에서 일정 등급 이상을 최저학력기준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수능은 여전히 중요하다. 그리고 대학들이 정시전형에서는 수능 성적을 가장 중요한 전형자료로 활용하기 때문에 수능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우리 모두는 수능 성적이 대학입학전형의 중요한 전형자료로 남아 있는 한 긴장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올해 일어난 수능 성적의 표기 방식 논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수능 성적을  여전히 중요한 대학입학 전형자료로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신중하게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 모두가 인정하고 있듯이 우리 사회는 이미 지식과 정보를 얼마나 많이 기억하는 것보다는 그것을 융합하고 창의적으로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한 시대로 진입해 있다. 오늘 날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의 총량보다는 지식융합능력과 문제해결력, 생각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한 지능정보시대인 것이다. 수능은 분명 지식의 단순한 암기나 기억, 이해를 평가하는 시험이 아닌 것은 틀림없다. 수능은 교과영역별로 고차적인 사고능력을 재려고 한다. 하지만 수능은 선다형의 문제 형식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한계로 인해 지식융합능력과 문제해결력, 고차적인 사고력이나 창의력 등을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을 안고 있다. 이런 이유로 해서 수능도 우리 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출제형식이나 성적표기 방식 등이 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차로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앞으로 수능 논의에서 중요한 것은 수능의 성격 규정이다. 학생 선발자료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고등학교 졸업자격을 판정 자료로 사용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수능의 출제방식과 성적표기 방식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 분위기에서는 현행 수능제도를 유지하자는 주장과 그것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하여 이에 대한 합의가 쉽지 않을 듯하다. 수능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대립과 갈등 해결도 국가가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신고리 5·6호기 원전 건설 중단과 재개여부를 공론의 과정을 통한 숙의 민주주의 방식을 도입하여 결정한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