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은 세계적인 흐름이다. 미래 성장동력으로서 우리나라는 물론 모든 국가의 화두가 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경제·산업, 사회·문화, 고용·일자리 분야 등 전방위적으로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 속에 국내 지자체들도 대응전략 마련에 분주하다.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뒤처질 경우 지역성장과 미래 먹거리가 불안하다는 우려 때문이다.

제주도 역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미래유망산업 발굴 등에 나서고 있다. 도는 스마트 농축수산업, 스마트 뷰티·향장산업, 전기차 전후방 연관산업, 에너지 신산업스마트 관광산업, 스마트 웰니스 케어산업 등을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코딩 교육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원희룡 지사는 관련 포럼이나 인터뷰 등 여러 자리에서 '4차 산업혁명 전진기지로서의 제주'를 거듭 강조해왔다.

하지만 제주도의 4차 산업혁명 정책과 관련, 정작 현장에서는 엇박자를 내고 있다. 지난 17일 열린 제356회 제주도의회 정례회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이경용 의원은 "도청 공무원들이 4차 산업혁명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부서별로 관련 자료제출을 요구했더니 온라인 마켓, 드론장비, 어플개발 등 대부분 3차 산업혁명에서 이미 끝난 내용들이었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관련 ICT 인력도 부족하다. 6급 이하 공무원 정원 4000여명 중 정보통신 계열은 80명 정도로 2%에 불과한데다, 현재 개방형 직위를 통한 기술인력 전문가도 2명 뿐이다. 그런가하면 내년 10억원이 책정됐던 코딩교육 예산도 편성 과정에서 5억원으로 삭감되는 등 4차 산업혁명 대비가 너무 허술하다.

4차 산업혁명은 먼 미래가 아닌 코앞에 다가온 현실이다. 우리가 맞닥뜨리고 싶지 않다고 피할 수 있는 선택의 문제도 아니다. 그런데 아직도 공무원들의 인식은 막연하고 미숙한 것 같아 걱정이다.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4차 산업혁명시대 제주의 미래는 없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