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제주도청 본관 2층 삼다홀에서 제주형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렸다.

방재종합대책 수립 용역결과 침수피해 가능성 제기
민간건축물 내진보강·재난약자 대피소 안내 등 요구

제주도의 지진·해일 대응체계가 허술해 대대적인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제주도는 28일 오후 도청 본관 2층 삼다홀에서 제주형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용역은 제주도의 지진 발생 현황과 특성, 지진 및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 대응체계 실태와 진단, 국내·외 지진방재대책 사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제주연구원이 수행했다.

연구용역 결과 제주도의 지진 위험도는 다른 시·도에 비해 낮지만 지진 발생빈도는 2000년 이후부터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지진에 의한 해일 피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 대규모 지진 발생 4시간 후 서귀포시 연안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도내 일부지역에는 태풍 및 해일 관련 위험안내 표지판만 설치됐을 뿐 대피소 위치와 대피경로 등에 대한 안내가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재난약자 대피계획이나 행동요령 등도 미흡해 대책 마련이 요구됐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지진·지진해일 위험도에 대한 도민 홍보 및 행동요령 숙지가 필요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초기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재난약자에 해당하는 노인과 어린이들이 10∼30분 이내 대피할 수 있는 대피소 확보도 과제로 제시했다.

이와 함께 도내 민간건축물 16만7434고 가운데 지진 취약구조가 5만5305곳으로 33%에 달해 내진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용역보고서에서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등 4단계로 15개 분야 42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며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발생하는 지진에 대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