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기표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위원

중국 정사인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진시황과 서복에 관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지금으로부터 2236년 전, 기원전 219년(진시황 28)에 중국을 통일한 후 전역을 순행하던 진시황은 산동성 교남시에 있는 낭야대에서 서복과 만난다. 신선의 술법을 닦는 방사였던 서복은 진시황에게 "신선이 사는 삼신산(봉래산, 방장산, 영주산)이 바다 가운데 있는데, 동남동녀를 거느려 불사의 선약을 구해오겠다"는 말을 하였다. 이에 진시황이 허락하여 서복은 동남녀 삼천명과 오곡 종자 및 백공을 거느려 바다로 떠났다. 이 사실은 비단 「사기」에만 기록된 게 아니라 이후 「한서」, 「후한서」 및 「삼국지」 등 중국 정사에 항상 기록되어 지속적으로 전하고 있다. 다시 말해 서복이란 인물은 전설상의 존재가 아니라 중국 역사 속에 실재했던 인물임을 말해주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서복 관련 도래설이 주로 전설로 전해오고 실질적 유적지가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헌 기록 및 구비 문학 등을 통해 서복의 도래설과 관련하여 다수 지역에서 관심을 갖고 꾸준히 연구하고 있으며, 특히 제주서복문화국제교류협회(이하 서복협회)를 통한 한, 중, 일 삼국간 학술 문화 교류는 이미 20년이 다 되어 학자 및 관련 단체들을 통한 인적 네트워크가 그 깊이를 더해가고 있다.

서복은 한중일 삼국간 해양문화의 교류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면 무궁무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중요한 소재이기도 하다. 

이미 20여 년 전 중국, 일본과 서복 교류의 물꼬를 텄고 지금까지 면면히 계승하고 있는 제주의 서복협회가 서복 관련 단체들의 형님 노릇을 해야 할 때가 되었다. 즉 제주의 서복협회가 우리나라 서복 관련 단체들의 역량을 한 데 모아 통합된 서복협의체를 발족시키고, 그 본부를 제주에 두며 한, 중, 일 삼국의 서복 문화교류를 보다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야 할 것이다. '제주도가 주도하는 해양문화의 교류'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이에 가장 합당한 소재로써 '서복 학술 탐구 및 문화 축제'라는 부문으로 제주도와 의회는 앞장서서 후원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관계 기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지원하는 체제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