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인주 제주에코푸드 대표·논설위원

2017년은 유엔이 정한 '지속가능 관광의 해'였다. 나라마다 다양한 모임을 통해 기존관광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있었다. 유엔은 '지속가능 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정했다. 관광분야에서 지속가능성(환경보호)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시발점이 됐다. 

유엔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빈곤과 기아 퇴치 등을 포한한 17개의 목표를 정했다. 이른바 '2030 아젠다'를 내세웠다. 그 중 관광은 4가지 영역에서 나타난다. 제8목표의경제성장과 고용, 제12목표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제 14목표 해양자원 및  제15목표 육상자원의 지속가능성 등이 그 것이다. 총체적으로 관광은 문화·역사유산·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하면서 지역사회의 일자리와 소득 창출 등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세계 관광산업은 호황기이다. 앞으로도 이러한 성장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세계관광기구(UNWTO)의 지표에 따르면 2016년 관광목적으로 다른 나라를 여행한 관광객은 12억 명이 넘었다. 그리고 국내여행객은 60억 명이나 됐다. 나아가 2030년 시나리오에서 해외 여행객은 18억 명에 이른다고 한다. 주지하듯이 관광산업은 세계 총생산(GDP)의 10%를 차지하는 경제의 핵심축이다. 현재 11명중 1명이 관광산업에 종사하며, 2030년에는 9명 중 1명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밋빛 희망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시각이 크다. 세계관광협의회(WTTC)에서는 "책임이 따르지 않는 성장은 우리자신을 죽게 한다"고 했다. 방치된 세계 관광산업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한 것이다.

무엇보다 자본의 역외 유출이 문제다. 유엔환경계획(UNEP)에서 집계한 수치이다. 관광에서 벌어들인 수익금이 신흥국에서는 40~50%, 선진국은 10~20%가 역외로 유출된다고 한다. 제주도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도내 관광업계 영업이익의 55%이상이 역외로 나가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수도권 등에 본사를 둔 사업체가 제주에서 얻은 이익을 육지로 송금한 것이다. 호텔의 경우 62%, 대형 면세점(신라, 롯데 등)은 대부분 서울 본사로 송금된다. 렌트카 업체도 별반 다르지 않다. 인건비와 시설관리비를 제외한 대부분이 역외로 나간다고 보면 된다. 특히 해외 패키지 투어나 크루즈 투어는 대부분이 출발 국가로 빠져나간다. 그 누출정도는 여행비용의 80%를 넘는다. 결과적으로 관광활동으로 훼손된 환경을 복원하기 위해 쓰일 자원의 부족을 초래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부 국가에서는 관광객 할당 내지 제한제도를 내놓고 있다. 환경보전과 지역경제 보호를 위한 각종 예방조치 등을 행동으로 옮기고 있는 것이다. 일례로 아일랜드의 한 관광협회는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공동체를 위하여 관광객 유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역사·문화유산 지역에 관광 버스의 운행 및 주차를 금지하거나 장기 체류 여행객을 우선시 하고 당일치기 관광객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이처럼 유엔이 정한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가 시행되면 단체모집 여행사는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다. 향후 여행업계는 유엔이 정한 '지속가능 관광'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조치와 기준에 합의해야 되기 때문이다. 마치 도내 학교급식업체가 친환경 농산물 및 지역 농산물을 사용하도록 명확한 기준을 정한 것처럼, 도정에서도 지속가능 관광을 인증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제주도의 하수·쓰레기·교통·육상 및 해상 자연파괴 등 환경문제가 풀리기 때문이다.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은 현세대의 자산이기도 하지만 미래세대의 몫이기도 하다. 우리는 내년 6월이 오면 새롭게 지도자를 선택한다. 현재의 불편을 감수하고라도 미래세대에게 물려 줄 지속가능한 제주를 만들어 나가는 철학을 가진 지도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