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사회는 지난해 6월 전국을 휩쓴 사상 초유의 고병원성 AI(조류 인플루엔자)로 큰 홍역을 치렀다. 제주항과 제주시민속오일시장을 거쳐 도내 가금류 사육농장에 반입된 전북 군산 오골계 농장의 중병아리가 고병원성 AI 바이러스로 확진된후 닭·오리 등 가금류 16만마리가 살처분 됐다. 또 가금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먹거리 불안으로 닭·오리에 생업을 의존하던 관련 업종도 직격탄을 맞았다.

타지역에서 유입된 고병원성 AI로 축산업·음식업을 포함한 지역경제가 휘청거리자 제주도는 지난해 8월 '가금류 종축기지화'의 대책을 내놓았다. 고병원성 AI 유입 방지와 안정적인 닭고기 생산용 병아리(종란) 자급률을 높여 수급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병아리가 육지부에서 반입, 자급률이 저조한 가운데 육지부를 중심으로 고병원성 AI가 발생할 때 마다 제주 방역체계가 흔들리고 수급난을 겪는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서다. 

제주도가 내년까지 육계, 산란계 등의 종계·부화장을 만들어 병아리 자급률을 높이겠다는 가금류 종축기지화 대책을 내놓았지만 미덥지 못하다. 내년까지 육계 종계장은 축산진흥원에서 공공시설로 추진하고, 산란계 종계와 부화장은 민간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투 트랙' 추진 방안을 제시했지만 실천이 더딘 실정이다. 더욱이 내년에 설립할 가금류 종축기지화 사업비의 50%를 국비로 충당하기 위해서는 올해 4월까지 국비 확보 타당성을 기획재정부와 협의해야 함에도 후속 조치가 뒤따르지 않고 있다.

고병원성 AI가 매년 발생하기에 제주도는 병아리 자급률을 높일 가금류 종축기지화 추진에 속도를 내야 한다. 아무리 거창한 계획을 세워도 재정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기에 국비 확보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는 얘기다. 고병원성 AI 유입으로 가금류 16만 마리를 살처분하면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경험했던 악몽은 지난해 1번으로 족하다. 고병원성 AI는 예고 없이 발생하기에 철저한 대비책 마련은 필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