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는 섬이라는 특성상 전력 소비량의 상당 부분을 육지부에서 생산해 공급하는 해저 송전선로에 의존하고 있다. 현재 도내에 설치된 해저 송전선로는 전남 해남군을 잇는 제1연계선로와 전남 진도군을 잇는 제2연계선의 2개다. 선로당 2개씩 모두 4개 회선을 통해 도내 전체 소비량의 40%에 달하는 전력이 공급된다. 

도내 전력 소비의 타지역 의존도가 높은 탓에 도민들 걱정도 적지 않다. 전력을 공급하는 해저 송전선로의 잦은 고장 때문이다. 정전이라도 되면 생업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한국전력 제주본부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3년간 해저선로가 12차례 고장을 일으켜 송전이 중단됐다. 올해에도 지난 5일 하루에만 2차례 중단돼 16시간 이상 전력 공급이 끊겼다. 

도민들의 불안감과 달리 한전은 해저선로 고장이 실제 정전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는 입장이다. 한 회선이 고장나면 다른 회선의 공급량을 늘려 조절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전은 해저선로 4개 회선의 총 용량보다 상시 공급량을 낮게 유지하면서 여유 용량을 남겨놓고 있다고 한다. 

한전의 설명을 신뢰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2개 회선이 동시에 고장나는 상황이다. 전력수요량이 많을 때라면 대규모 정전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실제 2016년에만 세차례나 제1연계선의 2개 회선이 동시에 고장난 적도 있다. 특히 고장이 났을 때 복구에 길게는 30시간까지 소요되기도 했다니 여간 걱정이 아니다.

한전의 철저한 점검에도 불시에 전력 설비의 고장에 따른 정전은 불가항력적인 측면이 없지 않다. 그럼에도 한전은 전력을 팔아 이익을 남기는 만큼 고장과 복구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여야 할 책임이 있다. 제주도정 역시 타지역 전력 공급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대체에너지 개발 및 풍력·태양광 확대 등 2030 신재생에너지 자립화 기반 구축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