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농업생태계가 급변하고 있다. 농작물 재배한계선의 북상으로 주산지 개념도 바뀌고 있다. 제주지역도 예외가 아니다. 제주 특산품인 감귤·한라봉이 전남 완도와 경남 거제 등에서 재배된지 오래다. 농촌진흥청 등에 따르면 제주는 2060년이 되면 산간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아열대 기후로 바뀔 것이라고 한다. 감귤의 제주농업 경쟁력이 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재배품목 변화가 불가피하자 도내 농가들은 아열대과수 재배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농정당국도 새로운 소득 작물로 아열대과수 도입과 재배지원 사업을 확대했다. 하지만 당국이 아열대과수의 생산기술과 재배 가능성 등에만 치중한 채 정작 중요한 경제성 분석은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동남아 국가와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상당수 아열대과수가 관세 인하 품목에 포함되면서 국내에 대량 수입되면 도내 농가의 피해가 속출할 수밖에 없다.   

정확한 정보 없이 아열대 과수작목 전환에 따른 피해는 한때 큰 인기를 끌었던 블루베리만 봐도 그렇다. 2011년 ㎏당 2만9000원대에 이르던 국내산 블루베리 가격이 2015년 1만7000원대로 급락하자 2016년에는 폐업 지원품목으로까지 선정됐다. FTA로 관세가 인하되면서 수입산 물량이 급증한 것은 물론 전국적으로 재배면적 증가로 과잉생산되고 있는 상황을 농정당국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채 지원을 늘린 결과다. 결국 고소득은 고사하고 소비 전망도 불투명해 도내 농가의 폐업신청이 속출했다. 

제주농업의 생존을 위해 기후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품목 개발은 중요하다. 하지만 섣불리 뛰어들었다가는 실패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농정당국은 단순한 생산기술 뿐만 아니라 향후 소비자 기호나 국내·외 경쟁력, 판로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정보를 농가에 제공해야 한다. 농가 역시 당국에만 기댈 것이 아니라 대체작목 선택에 앞서 다양한 정보 수집과 연구 등 자구노력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