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열 논설위원·경남대 교수

다가오는 6월 전국 동시 지방선거를 앞두고 교육감 예비 후보들의 등록이 진행되고 있다. 이번 교육감 선거는 2014년 선거에서 대거 당선되었던 진보적 성향의 교육감들이 계속 당선될 수 있는지를 유권자들로부터 심판을 받는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 이전 선거에서는 보수적 성향의 교육감들이 당선되는 것이 대세였다. 교육계 권력의 지형이 전국적으로 보수에서 진보로 넘어간 것이 지난 4년 전에 실시된 선거에서였다. 우리 제주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이제 제주특별자치도민들도 보수와 진보 교육감 시대를 다 경험한 셈이다. 유권자들은 앞으로 4년간 어떤 후보가 제주특별자치도의 교육을 발전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가졌는지를 면밀히 살피고 투표로써 선택을 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교육에 보수와 진보가 어디 있느냐며 교육발전만이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보수적 성향의 후보와 진보적 성향의 후보는 제주지역 교육을 발전시키겠다는 지향점에서는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그 방법에는 분명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육감 후보로 나서는 후보들은 어떤 가치를 지향해야 할지, 정책 과정에서 어떤 태도를 견지할지를 유권자들에게 드러내 보이고 선택을 받아야 한다. 

교육감 후보들은 '교육다운 교육'을 만들어 나가는 데 헌신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의 성장을 학교교육 활동과 교육제도 운영의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는 것을 선언할 수 있어야 한다. 더 이상 자신의 이념이 무오류라고 여기고 학교 교육을 좌지우지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몇 년 전에 겪었던 한국사 국정교과서 사태에서 확인하였듯이 도민들은 특정 집단의 정파(政派)적 이익, 특정 계층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교육정책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교육감 후보들은  교육을 교육답게 만들어 교육이 우리 지역사회와 국가의 지속적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근간이 되도록 하는 데 헌신할 각오를 해야 한다.      

교육감 후보들은 학부모를 비롯한 도민들과 소통하면서 교육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도민과 소통하지 않고 자신의 철학과 이념에만 근거하여 교육정책을 추진하려는 사람은 교육감 후보가 되어서는 안 된다. 지난 정부에서 대통령이 국민과 소통하지 않고 국민의 의사를 무시한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탄핵사태를 초래하였음을 교육감 후보들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유권자에 의하여 선출되는 지도자는 유권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교육감 후보들은 자신의 철학보다도 도민의 뜻을 더 무겁게 생각해야 한다. 

교육감 후보들은 교원을 교육혁신의 주체로 대우하겠다고 천명해야 한다. 교육정책 결정자들은 학교교육의 변화가 교원들의 열정과 경험 그리고 헌신에 의하여 가능하다는 점을 종종 잊고, 교원들을 학교혁신의 과정에서 소외시킨다. 이럴 경우에 교육혁신은 성공하기 어렵다. 학교현장에서 교육혁신을 실천하는 주체는 학교장을 비롯한 교원들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더불어 학부모들을 더 이상 계몽의 대상이 아니라 학교혁신의 동반자로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학부모들은 동기가 부여되고 동반자로 제대로 대우받는다면 자신의 자녀만이 아니라 우리 아이들 모두의 교육을 위하여 기꺼이 헌신하려고 든다.    

마지막으로 교육감 후보들은 점진적 개혁의 지혜를 가져야 한다. 교육감 후보들은 종종 유권자의 관심을 끌고 지지를 호소하기 위하여 무엇이든지 한꺼번에 바꾸겠다고 외치고 싶은 유혹에 빠질 수 있다. 하지만 학교와 교육활동을 혁신하는 데에는 시간이 요구된다. 학교를 운영하거나 그 속에서 교육활동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의식과 역량, 행동 방식 등은 하루아침에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교육감 후보들은 이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