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철 편집부 차장대우

제주의 생명산업 '감귤'이 곳곳에서 빨간 불이 켜지고 있다. 올해부터 무관세로 수입되는 미국산 오렌지를 비롯한 수입과일의 저가 공세가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기후 변화에 따른 재배지 확대도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농작물 주산지 이동현황'에 따르면 21세기 말에는 강원도 산간을 제외한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이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고 주요 농산물 재배가능지는 북상할 것으로 예측됐다.

먼저 1973년에서 2017년 사이 우리나라의 지역별 연평균기온의 변화를 보면 제주권이 1.14도 상승으로 가장 변화폭이 컸다. 이어 수도권 0.91도, 강원권 0.90도 순이었고 전국의 연평균기온은 0.67도 상승했다.

이에 따라 감귤 재배지는 전남 고흥과 경남 진주·통영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타 지역의 감귤 재배면적은 2000년 66㏊에서 2016년 169㏊으로 2015년 현재 2만㏊를 넘는 제주와 비교하면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지만 향후 재배면적이 급증할 경우 영향이 불가피하다. 특히 각종 통계자료는 앞으로 불과 2~3세대 만에 전국적으로 감귤 재배가 가능해져 제주 감귤의 독점적 지위가 흔들릴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실제 통계청은 이번 발표에서 2030년대 감귤재배가능지가 전남·경남 해안지역으로 확대되고 2060년대에는 강원도 해안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2090년대에는 경기도 해안이 포함되며 강원도 북부 해안지역은 제주 중산간지역과 함께 '재배적지'가 될 전망이다.
제주지역 내에서는 해안을 둘러 형성된 재배적지가 점점 중산간으로 올라가면서 재배면적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사과, 복숭아, 포도, 인삼 등은 재배가능지가 점차 감소하는 반면 감귤은 단감과 함께 재배가능지가 늘어나기 때문에 감귤이 대체작목으로 선택될 가능성이 높고, 감평·레드향·금감·네블오렌지·부지화·한라봉·진지향·천혜향 등 만감류 시설재배를 감안하면 감귤 재배지의 전국화는 곧 눈앞의 현실이 될 수밖에 없다.

전환점을 맞이한 제주 감귤의 경쟁력 강화도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됐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