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제주도 가축분뇨 처리 공공처리·공동자원화시설 증설 시급

악취 문제 등 양돈농가와 주민 갈등 심화
가축분뇨 1일 2800t 발생…처리용량 한계

최근 가축분뇨 악취를 둘러싼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가축분뇨는 대부분 퇴·액비로 자원화 되고 있고 행정당국이 악취 감소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이렇다 할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가축분뇨 발생·처리 실태와 액비 자원화 현장을 3회에 걸쳐 짚어본다.

제주도는 최근 축산 악취로 인해 청정제주의 이미지가 실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를 비롯해 도내 11개 마을 59곳의 양돈장을 대상으로 악취관리지역을 지정했다.

또 가축분뇨의 육상처리기반 확충과 자원순환농업 활성화를 위해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처리 및 자원화시설의 처리용량이 사실상 한계에 달하면서 공공처리·공동자원화시설을 증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서귀포시와 축산농가 등에 따르면 제주지역 1일 가축분뇨 발생량은 2800t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가축분뇨 처리현황을 보면 공공처리시설(2곳)이 400t, 공동자원화 및 에너지화시설(9곳)이 1120t을 처리하는 등 1일 처리능력이 1520t에 그친다는 점이다.

나머지 발생하는 가축분뇨는 재활용업체 등에 위탁 등을 통한 농가의 자체처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서귀포시 가시리 칠성영농조합법인(대표 송성혁)은 양돈 농가에서 발생하는 분뇨를 1일 평균 246t 가량 처리하고 있다.

수거한 분뇨는 처리시설에서 '분'과 '뇨'로 분리된 이후 각각 발효 시설로 옮겨져 냄새 없는 퇴비와 액비로 재탄생한다.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가축분뇨 보관 및 처리시설 등이 부족해 궂은 날씨 등으로 제때 가축분뇨를 처리하지 못할 경우 분뇨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가축분뇨 악취문제를 해소하고 가축분뇨자원화의 활성화를 위해선 무엇보다 가축분뇨 공공처리·공동자원화시설 증설이 요구되고 있다.

송성혁 대표는 "정화시설을 통해 액비를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며 "원활한 가축분뇨 처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공처리·공동자원화시설 증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공동자원화시설 활성화를 위해서 액비유통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있다"며 "특히 가축분뇨 적정처리 기반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장비·시설보수 등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