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사회경제부장 대우

지난 4·27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5~6월에 북·미 정상회담이 예정되면서 북한의 비핵화 협상이 타결될지 모른다는 낙관론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아직 북미 정상회의 결과가 나오지도 않은 상황에서 벌써부터 노벨평화상 수상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중 관중이 노벨상을 외치자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는 등 기대감을 갖고 있고, 미국 공화당이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하는 등 벌써부터 움직임이 시작됐다. 트럼프가 노벨평화상을 수상한다면 대통령으로서 큰 업적을 남길 수 있고, 올해 11월 중간선거와 재선에 호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국가정상이 노벨평화상을 받은 사례는 여러 차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 김대중 대통령이 남북한 평화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역대 미국 대통령 중에서는 시어도어 루스벨트(1906년), 윌슨(1919년), 카터(2002년), 오바마(2009년) 등 4명이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를 예상해보는 사이트인 래드브로크스(Ladbrokes)는 올해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공동으로 수상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그 뒤를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2위에 올랐다. 영국의 유명 출판사인 코랄은 올해 노벨 평화상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을 꼽았다. 

하지만 노벨평화상 역대 수상자중 논란이 일던 인물들도 있다.

인도는 영국의 윈스턴 처칠을 무자비한 인명 살상자라고 비판했지만 독일 나치에 맞선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미얀마의 실질통치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자문역은 군사독재에 맞서 민주화를 이뤄낸 공로로 노벨평화상을 받았지만 최근 로힝야족 사태에 대해 묵인하고 있다며 수상박탈 여론이 들끓기도 했다.

평화에 기여한 인물에게 그에 합당한 상을 주는 것은 옳은 일이지만 자칫 상을 받기 위한 결과로 평화를 이용해서는 안된다. 이희호 여사가 '노벨평화상 받으시라'는 덕담에 문재인 대통령은 "상은 트럼프가 타고, 우리는 평화만 가져오면 된다"라는 답변이 더욱 의미있게 여겨지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