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열린 "해안습지 보전위한 한·일 심포지엄".<강정효 기자>
 제주의 해안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한 한·일 공동심포지엄이 제주환경운동연합과 한국조류보호협회 제주지회, 제주떼배역사보존연구회 주관으로 28일 오후2시 제주 명도암유호스텔에서 열렸다.

 정상배 제주환경운동연합 조사부장은 ‘한국과 일본의 습지현황과 보전사례’ 주제발표를 통해 “해안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채 항·포구의 증설과 해안도로의 개설, 공유수면매립 등이 무분별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한 뒤 “엄청난 사업비가 소요되고 효용성조차 검증되지 않은 습지 파괴 행위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광식 제주대교수(증식학과)는 “충분한 조사와 자원보전에 대한 준비 없이 진행되는 체험어장 개발은 주변 생태계의 훼손 및 장기적으로는 수산자원 고갈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경고했다.

 ‘저어새 월동지로서의 제주지역 갯벌의 중요성’ 주제발표에 나선 김완병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연구원은 “제주는 지리적으로 저어새의 번식지와 월동지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저어새의 이동경로와 월동 생태를 연구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곳”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서해안과 남해안의 저어새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94년 이후부터 제주에서 월동하는 저어새의 개체수사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특히 제주와 일본의 큐슈지역은 저어새의 주요 월동지로 두 지역 간 정보교환을 통한 저어새의 생존과 갯벌 보호를 위해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야마시타 히로요시 일본 패류보호연구회 대표는 “한·일공동 갯벌조사에 따르면 한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갯벌지역에서의 패류 서식환경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며 “특히 새만금 간척사업은 한국의 해양생태계를 파괴한 대표적인 실패작”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또 “인공갯벌은 조성이 가능하지만 생태계를 원상 복구하는 건 불가능하다”며 “남아있는 갯벌을 소멸시키지 않고 갯벌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을 만들지 않도록 정부와 자치단체·자연보호단체 등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현장조사활동과 보전운동을 통해 본 한국의 습지’(김경원 습지보전연대회의 사무국장), ‘생태와 문화를 중심으로 본 일본의 갯벌’(다케다 준 일본 사가대 교수)등의 주제발표가 이뤄졌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