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농산물의 안전 관리가 미흡하다. 농산물 유통에 앞서 진행되는 잔류농약 분석에 투입되는 인력과 장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탓에 검사를 제대로 시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농약 성분은 농산물에 남아있어도 아예 검출조차 하지 못하면서 식탁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감사원이 최근 발표한 농축산물 안전관리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농산물 농약성분 검출 업무를 맡은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의 관련 전담인력은 1명에 불과하고, 장비도 4대 뿐이었다. 서울시가 24명의 직원에 장비도 67개나 갖추고 있는 것을 볼 때 농업 비중이 타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제주의 농축산물 안전관리 시스템은 너무도 열악하다. 턱없이 부족한 장비와 인력으로 도보건환경연구원이 분석할 수 있는 잔류농약 항목도 241개에 그치면서 농가에서 과다하게 농약을 사용해도 검출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실제 감사원이 시중에 유통되는 농산물 11개 품목에 대해 농약 성분을 검사한 결과 도내 농산물에서 디노테퓨란과 프로파모카브 성분이 허용기준을 초과해 검출됐지만 도보건환경연구원은 이를 분석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디노테퓨란 성분은 2014년 이후 593억원 어치가 공급되는 등 도내 상당수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결국 농약 성분이 기준치 이상으로 잔류된 농산물이 시중에 유통된다고 해도 현재의 인력과 장비로는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먹거리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우리 몸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농산물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택 기준 역시 가격 못지않게 안전성이 우선시 되고 있다. 당연히 제주산 농산물의 경쟁력도 청정환경과 안전성에 기초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처럼 농산물 잔류농약 분석과 관리가 허술해서는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얻기 힘들다. 도보건환경연구원의 검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부족한 장비와 인력 확충에 정부와 제주도가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