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류 유권자가 1류 정치를 만들 수 있다”

 선거개혁의 한 축인 유권자의 후보선택 중요성을 강조하는 단적인 표현이다.

 그러나 선거공간에서의 현실은 어떤가.

 4·13총선을 앞둬 학연·혈연·지연등 연고주의가 또다시 들먹이고 있다.

 일부 후보자들은 “내가 출마하는 선거구에 0씨 00파 유권자만 1만여명을 웃돈다”는 등 연고(緣故)를 당락의 변수로 여길 정도다.

 혈연 외에 대학은 물론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 졸업, 00지역 출신 등의 연고주의 울타리를 세우고 유권자의 심성(心性), 즉 표심을 뒤흔들 태세다.

 후보자 부인의 학연등 규연(閨緣)을 앞세운 여성표 구하기도 오래전의 일이다.

 이처럼 일부 후보자들은 연고를 출마의 기본조건으로 여기고 있다. 연고를 선거운동의 중심축으로 삼아 득표전략을 포함한 선거운동 틀을 짜고 있다.

 또한“여당 여당보다 괜당이 최고”“우리 지역 사람이 돼야지”등 소지역주의·지역이기주의에 빠져 투표를 지역출신후보자에 대한 시혜쯤으로 여기는 유권자도 엄연히 상존하고 있다.

 연고주의가 공동체 통합·발전에 순기능적 역할을 하는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사적 인연인 연고주의를 악용, 정치·사회등 공적인 부분까지 끌어들이려는데 있다. 각종 선거때 연고에 바탕을 둔 지역할거식 투표행태로 인해 마을과 마을,읍·면·동으로 대결구도가 확전되면서 잉태된 지역공동체 갈등이 그것이다.

 특히 지역출신, 동문, 핏줄을 따지는 연고주의는 능력중심의 공정한‘경쟁의 룰’을 배양할 수 있는 사회적 토양조성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처럼 사적으로‘요람에서 무덤까지’지닐 수밖에 없는 연고를 공적부분까지 관계범위를 확대시킴에 따라 파생된 병폐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엄청나다.

 연고를 앞세워 표를 구하려는 일부 후보자들이 자세전환과‘공명선거의 발목을 잡는 족쇄’인 연고주의에서 벗어나기 위한 유권자의 의식혁명이 시급한 것은 이때문이다.

 선거는 정책대결 등을 통해 정치꾼이 아니라 정치인,지역갈등이 아닌 지역통합·발전을 일궈낼 역량있는 지역대표를 선출하는 행위다.

 선거개혁은 유권자·후보자·정당이 삼위일체가 돼 변화를 지향할 때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고의 울타리 허물기는 선거개혁을 이뤄내기 위한 밑거름이자‘저비용 고효율’의 정치를 요구하는 사회·시대적 변화 물줄기의 수원지와 다름없다.

 연고라는 인(人)의 장막으로부터 자유로울 때 1류정치 새틀짜기가 가능함에 따라 새로운 유권자 상 정립은 유권자는 물론 후보자·정당이 4·13총선을 앞둬 풀어야할 과제다.<강한성기자><<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