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관광의 질적 성장을 추구하려는 제주형 관광품질인증제 도입을 놓고 제주도가 딜레마에 빠졌다. 정부에서 시행하는 국가 차원의 통합 관광인증제도와 중복되면서 전면 재검토나 재수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JTO)는 통합 인증 브랜드를 만들어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고 도내 관광업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체 관광품질인증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말 연구용역을 끝내고 적용대상과 심사사항 등에 대한 가닥을 잡은 상태다. 용역은 숙박·음식점·교통(렌터카)·여행·관광지업과 관광프로그램 등 6개 분야를 대상으로 39개 항목을 심사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제주만의 관광인증제 도입이 쉽지만은 상황이다. 정부가 국가 단위 관광인증제도를 추진하면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내 관광 서비스·시설의 품질 향상과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통합 관리를 위해 한국관광품질인증제를 마련해 오는 14일부터 시행한다. 자체 관광인증제가 있다고 해서 국가 차원의 인증제를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제주만의 독자적인 제도 시행은 어려워 보인다. 

결국 제주 관광인증제를 포기하거나 정부 인증제와 상호 연계 방안을 찾아야 하는데 이 역시 녹록지 않다. 무엇보다 심사기준이 문제다. 정부 인증제도만 운영할 경우 전국 공동으로 적용하기 때문에 지역 특수성이 무시될 수 있다. 실제 대상 업종·심사기준 등도 현재 도와 JTO가 검토 중인 내용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적용하게 되면 도내 관광업계가 불이익을 받을 것이란 우려가 크다. 

제주도는 자체 인증제만 획득해도 정부 인증까지 인정받을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제주에만 느슨한 심사기준으로는 타지역 관광업계의 반발을 살 것이 뻔하다. 지역실정을 감안하되 누구나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기준이 돼야 한다. 그래야 제주관광품질인증제가 그저그런 또하나의 인증제가 아닌 소비자 신뢰와 제주관광 경쟁력을 높이는 실효성도 얻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